20일 열린 2019 AFC 아시안컵 16강 3경기에서 페널티킥이 승부를 갈랐다. 오만은 이란과 경기에서 1분만에 페널티킥을 얻었지만 이란 알리레자 베이란반드의 선방에 막혔다. 반면 이란은 얻어낸 페널티킥을 데자가가 성공하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연합뉴스 제공 페널티킥이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20일(현지시간) 열린 2019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16강 1~3경기는 모두 페널티킥이 승부를 갈랐다. 이란은 오만과 16강전에서 경기 시작 1분 만에 페널티킥이 나왔다. 오만 알 가사니가 페널티 지역을 돌파하다가 이란 수비수에게 걸려 넘어졌다. 그러나 키커로 나선 오만 알 마하자리는 이란 골키퍼 알리레자 베이란반드의 선방에 막혔다. 반면 이란은 1-0으로 앞선 전반 41분 메흐디 타레미가 얻어 낸 페널티킥을 데자가가 상대 골망을 가르면서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우승 후보 이란의 '전담 키커'다운 침착한 마무리였다. 오만으로선 다른 경기 양상과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던 페널티킥 실축이 뼈아픈 순간이었다.
중국도 페널티킥 덕분에 웃었다. 중국은 1-1로 팽팽히 맞선 후반 23분 가오린이 상대 위험 지역에서 수비수의 거친 태클에 걸려 넘어지면서 페널티킥을 얻어 냈다. 직접 키커로 나선 베테랑 가오린은 강한 오른발 슈팅으로 왼쪽 골문을 갈라 2-1로 전세를 뒤집었다. 중국은 페널티킥 득점 이전까지 태국의 공세에 시달렸다. 이런 가운데 가오린의 페널티킥 한 방은 승부를 뒤집고 경기 흐름까지 바꿨다. 주도권을 쥔 중국은 그 이후 태국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며 승리를 끝까지 지켰다.
조별예선 D조 3위로 16강 진출 팀 중 막차를 탄 베트남은 B조 1위 요르단과 '페널티킥 전쟁'에서 압승을 거뒀다.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은 요르단과 16강전에서 120분 연장 혈투 끝에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 전·후반 90분 동안 1-1로 비긴 베트남은 연장전에서도 득점에 실패하며 피를 말리는 승부차기에 들어갔다. 베트남의 선축으로 시작된 승부차기에서 두 팀의 첫 번째 키커들은 나란히 득점에 성공했다. 반면 요르단의 두 번째 키커 바하 파이잘 셰이프의 슛이 크로스바를 맞히면서 승부가 기울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베트남 골키퍼 당반람이 요르단의 세 번째 키커의 슛을 막아 내 스코어는 3-1이 됐다. 베트남은 네 번째 키커가 실축하며 위기를 맞았지만, 마지막 키커가 득점에 성공해 4-2로 이겼다.
페널티킥은 22일 바레인과 16강전을 벌이는 벤투호도 준비해야 할 부분이다. 앞선 16강 경기 결과, 페널티킥은 단 한 번에 승부를 가르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천수 일간스포츠 해설위원은 "세계적인 팀들에는 세트 플레이나 페널티킥 상황에서 확실하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키커가 있다. 한국에는 킥이 중요한 선수가 여럿 있다. 공이 멈춘 상황에서 가장 확실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키커가 나서서 골로 연결한다면, 우승으로 가는 과정에서 보다 좋은 경기를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