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실패 책임 전가, 구조 조정하지 말고! 차라리 아시아나항공 매각하라! 이제 우리도 수고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회사 한번 다녀 보자!"
지난 2일 아시아나항공 및 소속 하청 업체 등이 참여한 카카오톡 오픈 채팅 방 '아시아나와 대한항공 진짜 을' 방에 올라온 플래카드형 사진 파일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한창수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가 사내 게시판에 경영난 해소를 위한 고강도 자구책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의 담화문을 올린 다음 날이었다.
한 대표는 담화문을 통해 "급격한 실적 악화와 향후 금융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이 초래됐다. 수익 구조 개편과 시장 신뢰 회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추가 자산 매각, 비수익 노선 정리를 통한 항공기 운영 대수 축소, 시장 환경 변화에 능동적이고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 개편 등 3가지를 해결 방안으로 내놨다.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은 마지막 '조직 개편' 부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 대표가 "구체적인 시행 방안 도출과 빠른 실행을 위해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활동에 들어갔다"고 말한 가운데 사실상 인력 감축을 위한 정리 해고로 연결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인력 감축 말고는 팔 매물도 별로 없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연간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말 기준 총 3조4400억원의 차입금을 기록했다. 올해 안에 갚아야 하는 빚이 1조2000억원에 달하는 데다 최근 국제 유가와 환율도 치솟고 있어 2분기 실적 하락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 만큼 유동성 확보가 시급하다. 이미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대한통운 주식과 광화문 사옥 매각, 일부 계열사 상장을 통해 1차 자금을 조달한 상황이라 추가로 내놓을 방안도 없다.
업계 전문가들은 구조 조정을 사실상 피할 수 없다고 예상한다. 항공기에 들어가는 기재나 유가 등 고정비는 절감이 어려운 부분이라는 것이다. 결국 줄일 수 있는 부분을 찾다 보면 인건비 축소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아시아나항공은 이미 지난해 회사 재무 건전성 개선을 위해 CJ대한통운 지분 매각·광화문 사옥 매각 등을 진행했다. 여유 자산도 많지 않기 때문에 인적 구조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오픈 채팅 방에 참여하는 A씨는 "구조 조정이 제일 크겠네요? 큰 그림을 그린 듯"이라며 지난달 28일 이뤄진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퇴진과 담화를 빗댔다. 또 다른 참여자 B씨는 "(아시아나)항공에서 벌어들이는 돈으로 여기저기 빚잔치 하는 것들이…기내 청소하고 뼈 빠지게 일하고 화장실도 못 가서 항공에서 볼일 보고"라며 한탄했다.
반면 경쟁 상대인 LCC(저비용 항공사)는 웃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중단할 가능성이 있는 노선을 확보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기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은 비수익 노선의 운항을 중단해 수익성 좋은 노선 중심의 체계로 재편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87개 노선 가운데 비용이 많이 들고 수익이 나지 않는 노선은 과감하게 정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제선은 22개국 64개 도시에 76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고, 국내선은 10개 도시에 11개 노선이 있다. 저비용 항공사들은 인천~베이징·인천~상하이 등 황금 노선에 군침을 흘린다.
가장 큰 수혜는 제주항공이 될 것이라는 평가도 흘러나온다. 최근 큰 폭의 성장과 영업이익을 기록 중인 제주항공이 수혜 유망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1분기 실적 호조 및 4월 중국 노선 배분 절차에서 수혜가 예상되는 제주항공을 단기 최우선주로 추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