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이하 LG생건)이 아시아에 이어 북미 시장 점령을 향해 닻을 올렸다. 사상 최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날 미국 뷰티기업의 인수합병(M&A) 소식까지 전하며 자신감에 차 있다. 업계는 M&A 전문가이자 만년 2등이었던 LG생건의 비상을 이끈 차석용 부회장의 성공신화가 이번에도 이어질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사상 최대 실적 발표날 미국 기업 인수 공개
LG생건은 지난 25일 미국의 화장품·퍼스널케어 전문회사 '뉴에이본'의 지분 100%를 1억2500만달러(약 1450억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뉴에이본은 13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 화장품·퍼스널케어 기업인 '에이본'에서 2016년 사모펀드에 팔리면서 분리된 회사다. 뉴에이본은 매출액이 한때 13조원에 달하던 에이본의 글로벌 사업 본사 역할하기도 했다. 현재 뉴에이본은 화장품과 건강기능 식품을 주력으로 취급하며 미국과 캐나다, 푸에르토리코 등지에서 영향력을 갖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7000억원 수준이었다.
LG생건은 뉴에이본을 발판삼아 미국과 주변 시장인 캐나다와 유럽까지 나아가겠다는 전략이다. LG생건 측은 "우수한 연구개발(R&D) 기술력과 제품 기획력으로 에이본 브랜드들의 제품 라인을 업그레이드해 사업을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또 인수를 통해 확보되는 북미 인프라를 활용해 LG생활건강 브랜드를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시키는 교두보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력과 제품력 양면에서 자신감에 차 있다.
LG생건은 뉴에이본의 인수를 발표한 이날 올 1분기 실적도 공개하며 또 한 번 주목 받았다. 1분기에만 매출 1조8748억원, 영업이익 3221억원, 당기순이익 2258억원을 달성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13.0%, 13.5%, 14.9% 성장했다. 특히 창사 이후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3000억원을 돌파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동력은 럭셔리 화장품이었다. '후', '숨', '오휘' 등 고가 뷰티브랜드가 매출과 영업이익을 견인했다. 미국에서도 인지도가 있는 뷰티 기업을 삼킨 것도 이 덕분이었다.
M&A 전문가 차석용 부회장…'까다로운' 북미도 성공할까
뷰티업계는 LG생건의 비상을 차 부회장에게서 찾는다. M&A 전문가 출신인 차 부회장이 인수합병 및 '선택과 집중'으로 만년 2등이었던 LG생건을 1등으로 올렸다는 것이다. 실제로차 부회장은 2005년 LG맨이 된 이후 코카콜라음료, 더페이스샵, CNP코스메틱스, 태극제약 등 20여 개 기업은 인수하면서 포트폴리오를 쌓았다. 중국의 사드 후폭풍, 내수 침체 등 악재 속에서 손실을 최소화한 것도 수익의 다각화 덕이라는 것이 업계 평가다.
국내 화장품 학계의 한 교수는 "LG생건이 역대 최고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건 차석용 부회장의 역할이 컸다. 취임 당시 2만원대였던 LG생건의 주가를 10만원까지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했고 그걸 이뤘다"고 말했다.
이어 "차 부회장은 원래 M&A 전문가 출신이다. 이를 통해 LG생건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구축해 위험을 분산하고 수익도 냈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고가 정책으로 의미 없다고 생각되는 브랜드는 다 쳤다. 결과적으로 다 맞아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에서도 후를 통해 비상을 이어갈 수 있을지 여부는 물음표다. 후는 압도적인 대륙의 지지로 지금의 자리에 섰다. 중국은 국가의 특성상 한방 성분을 선호한다. 또 드라마 '대장금'을 통해 아시아권 내 큰 영향력을 발위하는 후의 모델인 이영애를 좋아한다. 여러 면에서 중국 소비자의 마음을 뺏을 수 있는 요인이 많았다.
하지만 북미 시장은 다르다. 한방에 대한 대중적인 이해력이 적다. 이영애의 인지도 역시 중국 내 수준에 도달하기 어렵다.
한 업계 관계자는 "LG생건이 또 다시 후를 밀기보다는 뉴에이본의 인프라를 활용해 기술력을 더한 브랜드를 론칭하지 않을까 싶다. 북미 소비자는 아시아와 또 다르다. LG생건이 성공 신화를 쓸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