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정우성이 작가로 변신했다.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 5년의 활동을 담은 에세이를 펴냈다. 누가 뭐래도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있는 정우성은 이 책에 "난민에 관한 소통과 토론이 시작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았다.
2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B홀에서 '난민, 새로운 이웃의 출연' 북토크가 진행됐다. 300여명의 관객들 앞에서 정우성은 자신의 첫 책, 그리고 난민에 관한 솔직한 생각을 털어놨다.
이번 행사는 정우성이 직접 쓴 책 한 권으로 시작됐다. 정우성은 난민 보호 활동 5년의 기록을 담은 책 '내가 본 것을 당신도 볼 수 있다면-정우성이 만난 난민 이야기'를 펴냈다. 2014년 5월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가 된 그는 이 책을 통해 "상상한다. 우리 모두가 서로를 더욱 사랑하고 존중하는, 보다 나은 세상을"이라고 말하며 네팔, 남수단, 레바논, 이라크, 방글라데시, 지부티, 말레이시아 등 세계 난민촌을 찾은 특별한 경험을 털어놓았다.
책 이야기에 앞서 정우성은 그간 자신이 오간 난민 캠프에 관한 이야기를 전했다. 최근에는 로힝야 난민촌을 다녀왔다고. 두번이나 방문하며 로힝야 난민의 생활을 직접 경험했다. 그는 이에 대해 "로힝야 난민촌에 다녀왔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난민촌이다. 90년대부터 넘어온 난민 포함해서 100만 명에 육박한다. 34개 구역으로 나뉘어져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며 "저는 잠깐 머문 것인데, 거기서 계속 생활하는 분들이다. 어떤 환경에서 기후에서 감내하면서 생활하는지 짐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우성은 난민 이슈로 일부 네티즌으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았다. 특히 제주도에 예멘 난민들이 발을 디뎠을 당시 그를 향한 매서운 목소리는 놀라울 정도로 높아졌다.
정우성은 "예맨 난민들 대부분 출도 허가를 받아서 제주도가 아닌 곳에서도 임시 체류하고 있다. 그들에게 주어진 권리가 크지 않다. 1년마다 갱신하거나 3개월 정도의 체류 허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다 취업 기회가 어느 정도 주어질지 의문이 있고, 근로자로서 권리를 지킬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라며 "생계를 지원한다는 오해를 하고 계시는데, 체류 허가가 주어진 것이다. 그들이 자력으로 생활을 이어가야 한다. 그들도 자력으로 자신의 생활을 재건하고자하는 욕구가 크다. 자존감도 중요하다. 체류 허가는 떨어졌지만 녹록치 않은 현싦임은 틀림없다"고 전했다.
"자극적 뉴스와 정보로 인해 갑론을박이 펼쳐진다. 이해가 없는 주변인들은 자꾸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덤덤히 이야기한 그는 "시간이 지나며 '가짜 뉴스가 있다. 그렇다면 이 사람들은 누군인가'에 귀를 기울이는 이들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난민에 대한 후원의 마음을 보내주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은 크게 온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개인 후원이 세계 2위다. 어려운 사람을 돕고자 하는 의지와 의식들이 따뜻하고 높은 국민들임은 틀림없다"며 웃었다.
한 사람이 감당하기 힘든 악플이 쏟아질 때도 있었다. 그러나 정우성은 신념을 더욱 굳건하게 지켰다.
정우성은 "대중의 그런 반응이 무섭지는 않았다. 놀랍기는 했다"며 "댓글을 차분히 봤다. 아예 마음을 닫고 배타적인 성향으로 결심하고 집단적으로 움직이는 이들이 있었다. 대다수 우려의 목소리는 난민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데 '이게 정말 사실인가'하는 순수한 우려였다. 순수한 우려를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 더 정확한 이야기를 해주고 싶었다. 그래야 순수한 담론으로 이끌어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더 차분해지려고 했다"고 차분히 이야기했다.
이번 책으로 '난민을 돕자'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다른 곳 어딘가에, 그리고 제주도 어느 마을에 돌아갈 곳 없는 사람들이 살고 있음을 전할 뿐이다. 정우성은 작가로서 "이 책은 주장하면 안 된다. 담담하게 쓰려고 했다. 강요하지 않았다. 감정적으로 비쳐질 수 있는 면을 배제했다. 책 작업을 하고 지난 시간동안 만났던 사람들과 들었던 이야기를 되새겼다. 책을 읽은 분들에게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겠고, 저에게는 지난 시간을 돌아볼 수 있는 값진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배우로서 이미지 타격도 많은 분들이 우려한다. 하지만 저는 친선대사를 하며 난민을 이해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제가 보고 들은 것을 여러분에게 공유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솔직히 털어놓은 정우성. 이어 "친선대사 활동을 시작하며 시간이 흐르면 자료를 모아 책으로 내도 의미있는 일이 되겠다고 막연히 생각했었다. 어쩌다보니 난민 이슈가 뜨거운 때 책이 출간됐다. 오히려 좋은 타이밍이 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반대하는 사람, 찬성하는 사람 어느 쪽도 나쁘다고 할 수 없다. 그 이해의 간극을 줄이는 게 우리 사회가 성숙해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책의 제목은 '내가 본 것을 당신도 볼 수 있다면'. 정우성인 본 것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책을 덮을 때 각자 느끼실 거다. 여러 생각의 돌출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내가 본 것을 당신도 볼 수 있다면'은 2019 서울 국제 도서전 '여름, 첫 책' 선정 도서로, 오는 23일까지 진행되는 서울국제도서전 종료 후 일반 서점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책의 인세는 전액 유엔난민기구에 기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