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편의 영화로 영화계를 휩쓴 감독이 두번째 작품을 내놓았다. 소포모어 징크스를 예상하던 이들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 또 다른 명작을 만들어냈다. 관객을 치유했고 따스한 박수를 받았다. '우리들'에 이어 '우리집'을 내놓은 윤가은 감독의 이야기다.
오는 22일 개봉하는 '우리집'은 누구나 갖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는, 숙제 같은 가족의 문제를 풀기 위해 어른들 대신 직접 나선 동네 삼총사의 빛나는 용기와 찬란한 여정을 담은 작품이다. '우리들'로 베를린국제영화제,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등 국내외 30개 이상 영화상을 휩쓸며 전 세계가 사랑하는 감독으로 떠오른 윤가은 감독의 신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윤 감독은 또 다시 아이들을 영화의 중심에 세웠다. 마주치기만 하면 다투는 부모님이 걱정인 12살 하나(김나연)와 한달이 멀다하고 이사를 다니는 것이 싫은 유미(김시아)·유진(주예림)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여름날 풀냄새가 날 것 같은 스크린 위에 아이들의 예쁜 순수함이 떠다니다 관객에게까지 닿게 만든다. "우리집은 진짜 왜 이럴까?"라는 하나의 대사 등 아이들의 이야기지만 어른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과연 윤가은 감독의 내공이 듬뿍 담긴 '우리집'이다.
-아역배우들과 합이 좋다. "제가 아이들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저를 잘 다루는 것 같다.(웃음) 같이 재미있게 작업했다. 고생도 많이 했다."
-아역배우들에게 어떤 디렉션을 줬나. "'우리들' 배우들과 비교해 나이대가 달라졌다. '우리들'은 같은 또래, 같은 생활권의 친구들이 모였다. '우리집'은 나이대가 다양하다. 세 친구들이 같이 뭉쳐서 하는 이야기라, 어떻게 같이 극을 만들어나갈까가 큰 고민이었다. 리허설을 두달 반 정도 했다. 제가 조급해졌다. 어린이라는 단어로 퉁 쳐서 묶기엔 그 아이들 모두 말하는 방식도 다르다. 그 차이를 모르고 친해지지 않는 것 같아 걱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아이들은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시간이 흐르며 알아서 잘 친해졌더라. 바보 같이 걱정했던 거다. 리허설 때 아이들에게 많이 물어봤다. 아이들이 자신이 이해한 감정을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디렉션을 준다고 하는 게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 같이 만들어가는 느낌이 강하다."
-아역배우 촬영 수칙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됐다. "수칙을 100% 지키지는 못했다. 회자가 되는데, 미안하다. 하하. 배우들이 보면 '100% 다 안 지켜졌는데'라는 생각을 할 것 같다. '우리들'을 찍고 나서 배우들에게 미안한 순간들이 있었다. 그것이 안 잊혀진다. '우리들' 현장에서 발견해서 나중에 알았던 것들도 있었다. 그 미안함을 저도 까먹기도 하니, 문서화를 해 놓으면 누구라도 보고 서로 체크해줬으면 했다. 기록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급하게 스태프들과 규칙을 상의했다. 최대한 노력을 하려고 했다."
-'예쁘다는 말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는 내용의 수칙이 인상깊더라. 사실 어른들이 '예쁘다'고 하는 것이 어떤 기준에 의한 예쁨이 아니라 그 존재가 예쁜 것이지 않나. 그런데, 아이들이 받아들일 때는 그렇지 않다. 매일 예쁘다고 하다가 예쁘다고 하지 않는 날엔 스트레스를 받더라. '왜 자꾸 나한테 예쁘다는 말을 하지'라는 고민을 하기도 한다. 아이들도 배우라서 외적으로 보이는 것을 신경쓴다. 의도하지 않았는데, 그런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성인배우들에게 쉽게 하지 않는 말을 아이들에게도 하면 안 된다. 말하는 법이 제일 어렵다. 가치를 평가하게 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이 사실 제일 어렵다."
-더운 여름 촬영이었는데, 아역 배우들이 참을성이 강했나보다. "참을성이 좋다. 성인들보다 더 잘 참는다. 책임감이 더 강하기도 하다. '어른의 말을 잘 들어야해'라는 고정관념이 작용한다. 그러다 시간이 갈수록 아이들이 의사표현을 할 때가 있다. 그러면 진짜 뿌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