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예지원(46)이 변함없는 내·외면의 아름다움으로 채널A 금토극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을 빛냈다. 보면 볼수록 빠져들 수밖에 없는 마성의 매력녀 최수아 역을 소화했다. 딸 둘이 있는 엄마지만 진정한 사랑의 감정을 느껴본 적 없어 사랑에 갈증을 느낀 인물이었다. 이에 평일 오후 세시만 되면 다른 남자들을 만나 위험한 육체적 사랑을 나눴던 터. 조동혁(도하윤)을 만나 진정한 사랑의 가치와 이유를 깨닫고 살아갔다. 그 모습이 진한 여운을 남겼다. 예지원은 "이 작품을 통해 결혼관이 바뀌었다. 성장통을 겪은 기분"이라고 털어놨다.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은 채널A 드라마 역사를 새롭게 썼다. 시청률 2%를 처음으로 돌파하며 금, 토요일 심야 다크호스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일본 드라마가 원작이지만 원작을 씹어먹었다고 표현할 정도로 한국화가 잘 된 작품이었다. 예지원은 "아쉬움보다 감사한 마음이 큰 작품"이라면서 많은 관심과 응원에 감사함을 내비쳤다.
-종영 소감은. "드라마가 잘 끝나 기쁘다. 일하는 여성들은 수아 캐릭터가 멋지다고 얘기하고, 남성들은 좀 무서워하는 것 같다.(웃음) 과거 시대에 억눌렸던 여성들이 폭발하면 이렇게까지 될 수 있다는 걸 잘 보여준 것 같다. 여자가 했을 때, 남자가 했을 때 왜 잣대가 달라질까. 받아들이는 게 지금까지 달랐는데, 변하는 시대상을 보여준 것 같아 기쁘다."
-이번 작품을 통해 달라진 게 있나. "평소 댓글을 잘 안 보는데 보기 시작했다. 실시간으로 보니 더 재밌더라. 1, 2회 때는 댓글 반응이 좀 무서웠다. 응원하는 것도 있지만 원작과 비교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초반에는 각자 인물 설명이 필요했고 후반부엔 인물들의 감정선 위주로 흘러갔다."
-초반엔 불륜 미화 드라마란 편견도 있었다. "5회부터는 불륜 방지 드라마라고 본다. 수아는 꼿꼿하게 가지 않나. 불륜을 하게 되면 천벌을 받는다는 걸 담고 있는 것 같다. 앞에는 화려한 것 위주로, 5회부터는 감정이 크게 들어간다. 종일 우는 게 대부분이었다. 오히려 우는 걸 줄여야 하나 싶을 정도로 오열신이 많았다. 처절하게 담았는데 편집이 잘 됐다. 찍으면서 조율했다."
-어떤 점을 배웠나. "성장통이라는 게 살면서 배우는 것이지 않나. 결혼생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결혼하기 전에 결혼이란 무엇인지, 순간적으로, 감정적으로 확 하는 게 좋은 것인지 잠시나마 생각하게 만든 작품이었다. 결혼을 안 한 입장에서 드라마를 통해 여러 형태를 봤다. 현장에서 많은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다. 시집가기 전 좋은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각 부부에게 문제가 있었다. "(박)하선 씨 부부는 남편이 아내를 계속 '엄마'라고 불렀다. 엄마라고 부르는 남자도 나쁘지만 여자도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맥주 한 잔, 차 한 잔 하면서 심각하게, 오랫동안 이야기를 하거나 부부상담소에 간다거나 심각하게 넘어가야 하는데 '언젠가 괜찮아지겠지' 하고 넘어갔던 것 같다. 극 중 사람 관계라는 건 말 한마디로 인해 틈이 생길 수 있다는 대사가 있는데 말 한마디를 참아야 관계가 오래간다는 세대는 과거 세대다. 지금은 소통이 중요한 시대다. 소통이 중요하다는 얘길 담은 작품이다. 지금 우리의 이야기다."
-선택도 자신의 몫이란 메시지가 있었다. "여기 나오는 인물 중 남한테 피해를 주는 사람은 없다. 과거를 한탄하는 사람도 없다.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이다. 긍정적인 사람들인데 무언가 하나가 비어있는 것뿐이다. 결혼 당시엔 다들 확신이 있었을 것이다. 수아도 집이 망했지만 당시엔 지금의 남편이 은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큰 확신을 가지고 결혼했는데 살다 보니 아니었던 것 같다. 우리는 이런 상황과 마주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두고 생각해봐야 하는 것 같다." >>[인터뷰②] 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