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MC 판도는 얼마나 고인 물일까. 포털 사이트 네이버 기준, 현재 방송 중인 예능 프로그램 189개에 진행자로 등록된 연예인은 총 177명이다. 이 중 3개 이상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은 방송인은 12명(강호동·김구라·김성주·김숙·박나래·서장훈·신동엽·이상민·이수근·장성규·전현무·한혜진)이다. '국민 MC' 유재석은 2개(해피투게더4·런닝맨)로 집계돼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하지만 사실상 진행자 역할을 하는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등을 포함하면 그 수는 더욱 늘어난다.
3개 이상의 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 중인 12명이 출연하는 예능 프로그램은 총 36개다. 상위 6%의 방송인이 20%의 방송을 진행 중이다. 이들이 출연하는 36개 방송이 SBS '미운 우리 새끼' MBC '복면가왕' KBS 2TV '해피투게더4' 등 지상파 주력 예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시청자가 느끼는 피로감은 수치로 보이는 그 이상이다. 새 예능 프로그램 제작 소식을 접하는 시청자들이 새로움을 느끼지 못하고 "그 얼굴이 그 얼굴이다" "새로운 사람이 없다" "쓰는 사람만 쓴다"고 비판하는 덴 합리적 이유가 있었던 것.
예능 제작자들의 고민도 깊기는 마찬가지다. 새로운 얼굴을 찾고 싶지만, 말 그대로 프로그램을 이끌고 나가야 하는 진행자 자리에 검증 안 된 인물을 앉히기엔 위험이 크다. 예능국 관계자는 "늘 보던 사람을 쓰는 건 제작하는 사람으로서도 재미없고, 식상하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사람을 쓰면 홍보 효과도 미미하고 진행 실력이 뒤처질까 걱정된다. 쫀쫀한 진행이 필요한 예능일수록 더욱 인정받는 사람을 쓰게 된다. 전현무나 김성주가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음악 경연 예능' 하면 두 사람이 떠오르고 시청자의 반응도 확실히 다르다"고 한숨을 쉬었다.
방송관계자는 "과거엔 KBS 2TV '개그콘서트' 등을 통해 유명해진 코미디언들이 여러 프로그램에서 경험을 쌓으며 MC가 되는 구조였다. 하지만 최근 개그 프로그램의 인기가 하락하며 새로운 예능인을 찾기가 어려워졌다. 또 서장훈이나 한혜진 등 주목받는 방송인이 등장하면 너도, 나도 기용하는 것도 고인 물 현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MC 세대교체가 되지 않는 원인을 분석했다. 이어 "요즘은 전문 방송인이 아니지만 호감 이미지, 전달력 좋은 발음과 발성 등 자질을 갖춘 이동욱·이다희 같은 배우로 눈을 넓혀 신선함을 꾀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