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한 수: 귀수편' 스틸 영화 '신의 한 수: 귀수편'이 중장년층 관객을 사로잡으며 극장가 흥행의 한 수를 보여준다.
'신의 한 수: 귀수편'은 중장년층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특히 치열한 내기 바둑이라는 소재와 함께 8, 90년대라는 영화적 배경이 중장년층에게 높은 몰입도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CGV 관객 평점에서 40대 관객에게 92%, 50대 이상 관객에게 94%의 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돋보이는 부분은 전작 '신의 한 수'와의 대비이다. 전작 '신의 한 수'가 네이버 관람객 평점에 따르면 10대와 20대에게 8점대 후반으로 가장 높은 사랑을 받았던 반면 '신의 한 수: 귀수편'은 전연령대에 걸쳐 8점 후반을 기록, 그 중에서도 40대와 50대에게는 9점 이상의 높은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 '신의 한 수: 귀수편' 스틸 이처럼 중장년층 관객을 매료시킬 수 있었던 데는 '신의 한 수: 귀수편'만의 세 가지 개성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먼저 4, 50대 관객들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첫 번째 포인트는 '신의 한 수' 시리즈의 오리지널리티인 내기 바둑 소재다. 소위 ‘관철동 시대’로 불리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가장 화려했던 바둑사를 함께 경험한 4,50대 이상 중장년 관객들에게 '신의 한 수: 귀수편'의 내기 바둑 소재가 남다른 의미로 다가간 것. 이에 다른 연령대의 관객보다 폭넓고 다채로운 바둑 대국을 완연히 즐길 수 있는 중장년층의 폭발적 지지 속에 개봉 3주차에도 꾸준한 관객몰이 중이다. '신의 한 수: 귀수편' 스틸 또 하나의 포인트는 바로 영화적 배경이 1980-1990년대인 점이다. 전작에서 벽을 사이에 두고 주인공 태석(정우성)과 맹기 바둑을 두던 귀수의 15년 전 이야기를 다룬 '신의 한 수: 귀수편'. 영화의 배경인 8, 90년대의 시대를 현실감 있게 살리기 위해 주황 색감을 화면에 입힐 수 있는 텅스텐 조명을 사용하고, 아나모픽 렌즈를 활용해 레트로 감성을 완벽하게 구현했다. '신의 한 수: 귀수편' 스틸 내기 바둑의 치열함을 유지하며 더욱 스타일리시해진 액션도 중장년층 관객들을 사로잡는 입소문 포인트로 작용했다. 권상우가 이번 액션의 부활을 알리며 중장년층 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화장실 액션’, ‘골목길 액션’, ‘주물공장 액션’ 등 만화를 찢고 나온 듯한 액션을 선보인 권상우의 도장깨기 액션 장면들이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했다.
'신의 한 수: 귀수편'은 바둑으로 모든 것을 잃고 홀로 살아남은 ‘귀수’가 냉혹한 내기 바둑판의 세계에서 귀신 같은 바둑을 두는 자들과 사활을 건 대결을 펼치는 범죄액션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