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한해를 보내고 다음 시즌 준비를 시작한 KBO 리그의 '미래'들에게는 꼭 이루고픈 공통의 목표 하나가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이다.
특히 지난 11월 2019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에 출전했던 젊은 야구 국가대표 선수들은 막연했던 그 소망에 확신을 갖게 됐다. 짧은 기간이지만 국가를 대표하는 자랑스러움과 그만큼의 무게를 직접 체험하고 돌아온 덕분이다. 도쿄 올림픽 대표팀 승선은 곧 2020년에도 시즌 내내 올해를 능가하는 성적을 올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이유로 태극마크는 더 높은 도약을 준비하는 선수들에게 또 다른 동기부여가 된다.
올 시즌 KIA 마무리 투수로 자리를 잡은 문경찬이 대표적이다. 그는 "올해 시즌 도중에는 우연찮게 기회가 오고 우연찮게 잘 풀렸다고 생각하는데, 이제는 내 다음 시즌에 목표가 뚜렷하게 새긴 것 같다"며 "내년에도 또 한 번 국가대표가 될 기회가 있으니 다시 한 번 뽑히고 싶다는 목적의식이 생겼다. 그게 지난 프리미어12의 가장 큰 수확이었다"고 했다.
LG 강속구 마무리 투수 고우석도 그렇다. 그는 이미 "대표팀에서 그동안 못 만났던 다른 팀 선배들을 만나면서 옆에서 지켜보기만 해도 보고 배우는 게 많다"고 했다. 대표팀이 그에게는 또 다른 배움의 장이었다는 얘기다. 내년에도 다시 '김경문호' 승선을 꿈꾼다. 고우석은 "꼭 올림픽에 가고 싶고, 가려고 노력할 것이다. 한 번 대표팀에 오니 또 오고 싶다"고 했다.
동기생인 키움 외야수 이정후와 함께 최정예 국가대표팀에 발탁됐기에 더 의미가 깊다. 둘은 이번 대표팀에서 한솥밥을 먹으면서 "우리도 형들처럼 오래 야구를 잘 해서 국가대표를 함께 오래 해보자"는 약속도 나눴다. 고우석은 "우리 동기들이 대표팀에 꽤 빨리 온 것 같다. 오래오래 태극마크를 달고 싶다"며 "이정후는 꾸준하게 3년간 실력을 보여줬으니, 내년 도쿄에 같이 가려면 내가 잘하는 일만 남았다"고 웃어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실제로 지난 프리미어12 대표팀은 20대 초중반 젊은 선수들이 대거 합류해 성공적인 세대교체의 신호탄을 쐈다. 류현진(당시 한화) 김광현(SK) 김현수(당시 두산) 같은 프로 2~3년차 선수들이 국가대표 주축으로 자리를 잡게 됐던 2008년 베이징올림픽 대표팀을 연상케했다. 타선이나 수비에서도 30대 베테랑 타자들보다 20대 젊은 선수들의 활약이 더 돋보였다. 김경문 대표팀 감독도 대회가 끝난 뒤 "젊은 선수들이 성장했던 부분이 인상적이다. 투수와 야수에서 좋은 선수들이 새로 많이 보였다"며 "내년 8월에는 다시 잘 싸울 수 있는 새 대표팀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평가했을 정도다.
KBO 리그에서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한 팀에 모이고, 그 안에 나 자신이 소속됐다는 것. 야구를 '즐기면서' 하는 요즘 세대들은 그 자체에서 희열을 느끼고 보람을 찾는다. 젊은 선수들의 자긍심과 투지가 대표팀 전체에 건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또 국제대회 출전에 보상으로 따라 붙는 현역 등록일수처럼 현실적인 이득도 똑똑하게 잘 계산하고 활용하는 게 요즘 선수들의 특징이다.
결국은 소속팀에서의 성적에도 무형의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한국 야구 대표팀의 우완 에이스로 떠오르고 있는 두산 이영하는 "일단 국가대표를 해보니 '내가 태극마크를 달고 뛴다'는 자부심이 생겼다. 투수로서 자존감도 높아진 것 같다"며 "대표팀에서 좋은 분위기를 느끼면서 어떻게 해야 야구를 편하게, 즐기면서 할 수 있는지 배워온 것 같다. 매번 잘해야 한다는 마음에 쫓기기 보다 나를 믿고 좀더 편하게 할 수 있는 타이밍을 찾았다"고 귀띔했다. 태극마크가 젊은 국가대표들의 숨은 투지와 잠재력까지 한 뼘 더 이끌어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