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김다예 PD JTBC 2020 드라마 페스타(JTBC 단막극)가 젊은 연출·작가들의 톡톡 튀는 신선한 소재 속 따뜻한 감동을 선사했다. '루왁인간' 라하나 PD와 '안녕 드라큘라' 김다예 PD는 메인 연출가로서 신고식을 마쳤다.
지난해 12월 30일 방송된 '루왁인간'은 은퇴 위기에 처한 50대의 고졸 세일즈맨 안내상(정차식)을 통해 우리네 가장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지난 17일과 18일 방송된 '안녕 드라큘라'는 인생에서 가장 외면하고 싶은 문제와 맞닥뜨리게 된 사람들의 성장담을 담은 옴니버스 드라마였다. 각기 다른 색채를 뿜어냈지만 우리네가 살아가는 모습으로 '가족애'와 '우정'의 진한 힘을 느끼게 했다.
라하나 PD와 김다예 PD는 입사 동기 사이. 나란히 JTBC 2020 드라마 페스타로 입봉했다. 서로를 격려하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오가는 칭찬 속 이야기꽃이 피었다. 메인 연출로서 작품을 해보니 결코 쉽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지만,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에 대한 뚜렷한 목표를 가진 모습이었다. 이제 막 시작인 만큼 인생을 길게 보고 차근차근 필모그래피를 써 내려가고 싶다는 바람을 밝혔다.
이하는 '안녕 드라큘라' 김다예 PD와의 인터뷰.
-작품을 마친 소감은.
"이제 막 끝나서 아직은 허한 게 큰 것 같다. '진짜 끝났구나!'란 생각이 들면서 기분이 묘했다. 편집실에서 짐도 쌌다. 고마운 분들이 많아 감사 인사를 전해야 할 것 같다."
-입봉작이었다.
"(라)하나와 함께 술 마시면서 재능이 있는 걸까 이 이야기를 진짜 많이 했다. 하고 싶은 것과 잘하는 게 다른 것인데 잘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이 많았다. 박찬홍 감독님이 스스로에 대한 관용이 없다고 그랬었는데 이번에 하면서 '내가 이 일을 정말 좋아하는구나!' 이런 걸 느꼈다. 앞으로 계속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주변 반응은 어땠나.
"지인이 글 하나를 캡처해줬다. '안나가 유라 전학 갈 때 유라 손을 잡고 어른들한테 받은 상처를 위로해주고 유라 잘못이 아니라 어른들 잘못이라고 먼저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얘기해줄 때 뭉클했다. 나에게도 안나 같은 사람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글이 담겨 있더라. 드라마를 통해 전하고자 했던 연대감을 느껴줘 감사했다."
-2부작에 대한 아쉬움은 없었나.
"옴니버스 형식이라서 2회 안에 세 가지 이야기를 넣어야 했다. 신마다 의미를 담아야 했고 감정선이 끊기지 않게 연결을 해야 했다. 압축될 수밖에 없었다. 옴니버스로 하면서 깊이 있게 다뤄야 하는 부분을 놓치고 간 것도 있을 것이다. 그런 지점들에 대한 생각이 들더라." JTBC 김다예 PD
-'안녕 드라큘라'의 경우 동성애 소재가 등장했다.
"엄마와 딸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안나가 동성애자라는 소재는 갈등의 소재로만 사용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 당사자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기에 고민하면서 표현했다. 그녀가 동성애자인 설정도, 우울증 약을 복용하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우리 주변에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했고 그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극 중 대사처럼 우울증 약을 먹는 건 일종의 건강관리라고 생각했다."
-극 중 서현(안나)과 이지현(미영)은 해피엔딩을 맞은 것일까.
"대한민국에 태어난 딸들은 엄마에 대한 부채감을 가지고 있지 않나. 엄마가 딸한테 자길 투영하는 관점도 있다. 좀 더 독립적으로 서로를 인정하고 바라봐야 각자의 주체가 되는데 그런 게 안 되는 미묘한 관계가 있으니 그런 걸 좀 다뤄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안나 스스로 사랑하고 엄마가 날 인정하든 안 하든 상관없이 괜찮다고 생각하며 있는 그대로 마주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미영과 안나의 관계는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했다."
-서은율(지형)과 고나희(유라)의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
"처음에 '휴거(국민 임대아파트 브랜드와 거지 합성어)'라는 얘길 들었을 때 절망감을 느꼈다. 아이들은 어른들을 모방한다. 어른들이 계급을 나누고 차별하는 걸 아이들도 따라 하는 것이다. 어른들의 이기심에 아이들이 상처받는 거다. 그런 지점을 말하고 싶었다. 이게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얼마나 크게 상처를 주고 있는지 다루려 했다. 지형과 유라가 재개발 반대 성명에 실패했다. 하지만 성공은 너무 판타지니까 이게 현실이라고 생각했다. 이렇게 끝나면 유라가 너무 상처 받지 않나. 어른으로 인한 상처를 받았던 안나가 유라에게 진심으로 위로를 건네는 모습을 통해 조금의 희망은 담고 싶었다."
-걱정했던 지점이 있었나.
"대본을 어른의 시각으로 썼을까 걱정했다. 아이들이 혹시나 대사를 보고 공감을 못하면 어떻게 하나 걱정이 되어 오디션 볼 때마다 계속 물어봤다. 그런데 생각보다 아이들이 대본에 처한 상황을 너무나 잘 이해하고 있더라. 이게 진짜 해야 할 이야기겠구나 싶었다."
-어떤 메시지를 가장 핵심적으로 전달하고 싶었나.
"우리가 마음 깊숙하게 묻어둔 문제, 외면하고 있는 순간들을 마주하지 않고서는 결국 나아갈 수 없다는 걸 크게 얘기하고 싶었다. 안나가 자기 자신을 좀 더 사랑하고, 서연이가 자신이 어떤 걸 해야 행복한지 알고, 아이들이 나쁜 어른들과 사회를 마주하며 상처 받지만 다시금 극복해내는데 그것이 각자 자신의 탓만은 아니다. 사회에서 행해지는 차별과 사회가 청춘들에게 실패할 기회를 주지 않기에 선택이 어렵고 힘든 것이다. 사회의 무한 이기주의와 불합리한 시스템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싶었다."
-결말이 평범하지 않아 인상적이었다.
"'나는 이런 나라도 괜찮아.' 이게 가장 하고 싶었던 말인 것 같다. 분명 모두가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계속 갈등을 할 것이다. 결국은 서툰 사람들이 성장해가는 이야기다. 적어도 어제와 다른 오늘을 살 것이란 마음으로 떠나보내는 모습을 엔딩으로 담고자 했다." JTBC 드라마 페스타 '안녕 드라큘라'
-서현 배우의 연기력 성장에 놀랐다.
"드라마 '시간'을 봤을 때 우울하면서도 처연한 분위기가 매력이 있다고 생각했다. 안나의 처연한 이미지가 잘 맞는다고 생각해 캐스팅을 했다. 촬영 전에 리딩을 많이 했다. 이지현 선배님과 서현 배우가 감정선에 대해 얘기를 많이 나누며 연기했다. 신뢰가 많이 쌓인 상태에서 연기했다. 그리고 집중력이 진짜 좋더라. 감정적으로 힘든 게 많았는데 빠르게 집중해서 해냈다. 똑똑하고 유연한 면도 있다. 감정선이 정말 세밀한데 표현을 잘해줘서 고맙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연기 스펙트럼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 같다."
-표현주의에 입각한 앵글이 좋았다.
"정종범 촬영 감독님에게 도움을 많이 받았다. 스태디캠 팔로우나 앵글을 통해 내가 원하는 느낌을 잘 표현해줬다. 전태현 조명 감독님은 콘티에 맞춰 최대한 빠르게, 원활한 속도로 촬영장이 흘러갈 수 있도록 도와줬다. 두 분 덕분이다."
-앞으로 어떤 연출가가 되고 싶나.
"드라마는 모두가 쉽게 접근해서 볼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에 시대의식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부분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고민해서 더 좋은 방향으로 삶이 나아갈 수 있게끔 노력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