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는 6일 오후 '(전날) 기물 파손은 있었지만 KBS시큐리티 안전요원들의 신속한 대처로 인명 피해는 없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난동자를 제지하는 과정이 적절하지 못했다며 비난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바로 잡았다.
이들은 'KBS시큐리티 안전요원들은 추가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해 난동자를 자극하지 않고 회유해 안전한 장소로 유도한 뒤 제압해 경찰에 인계했으며 이 모든 과정은 이런 상황에 대비해 마련해둔 조치 매뉴얼에 따라 진행됐다'며 '외부에 유포된 동영상에는 안전요원들이 난동자를 설득하고 제압이 용이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담겼다. 이후 난동자를 제압해 경찰에 인계하는 과정은 담겨있지 않았다. 일부 과정만 담긴 영상으로 당시의 모든 상황을 단정 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전했다.
라디오 오픈 스튜디오는 청취자들이 자유롭게 오가며 볼 수 있는 곳에 설치됐다. 이런 장소에서 난동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점을 감안해 안전요원들은 이 남성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변을 에워싸는 방식으로 제지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또한 난동자가 스튜디오 진입을 시도했거나 누군가에게 위해를 가하려 했다면 매뉴얼에 따라 즉시 강력하고 신속한 제압에 나섰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5일 오후 3시 40분경 생방송 진행 중 신원미상의 한 40대 남성 A씨가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 라디오 오픈 스튜디오의 대형 유리창을 곡괭이로 내리쳐 파손하고 난동을 피웠다. 서울 영등포 경찰서는 A씨를 현장에서 체포했으며 특수재물손괴죄로 구속영장을 신청한 상태다. A씨는 경찰 조사에서 '휴대전화가 25년째 도청당하고 있는데 다들 말을 들어주지 않아 홧김에 그랬다'고 진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