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 전면 취소까지 거론됐던 상황에서 어렵사리 막을 올린 부산국제영화제는 규모를 대폭 축소해 열린다. 개·폐막식도, 레드카펫도 없는 썰렁한 행사가 됐지만, 영화인들의 열기 만큼은 어느 때보다 뜨겁다.
올해는 68개국 192편의 영화가 초청됐다. 매 해 300편 정도가 상영된 것과 비교하면 대폭 줄어들었다. 상영관 수도 기존 37개에서 영화의 전당 5개 관으로 축소됐다.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 조치에 따라 전체 유효좌석 25%까지만 입장 가능하다. 또한, 영화 한 편당 단 1회만 상영된다. 일부 GV(관객과의 대화)는 진행되지만, 주요 야외 및 실내 프로그램 행사는 취소됐다.
부산국제영화제 측은 "레드카펫 입장, 개막식과 폐막식, 야외무대 인사, 오픈토크 등 관객이 밀집될 만한 야외 행사를 전면 중단 한다"며 대중이 밀집할 기회를 원천 차단한다. 영화제 초청을 받아 해외에서 입국하는 게스트도 없을 예정이며, 관객과 게스트를 위해 운영하던 각종 센터와 라운지도 운영하지 않는다. 영화제 경쟁부문 심사 역시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규모가 대폭 축소됐지만, 관객들의 열기는 여전하다. 관람 기회를 잡기 쉽지 않아 예매 경쟁은 오히려 예년보다 뜨겁다. 현장 예매 없이 온라인 예매로만 진행됐는데, 이미 대다수의 주요 초청작이 매진됐다.
개막작은 '칠중주: 홍콩 이야기'다. 홍금보·허안화·서극·조니 토 등 홍콩 거장 7명의 옴니버스 영화다. 조니 토 감독이 프로듀싱을 맡고, 1950년대부터 근 미래까지의 시간을 배경으로 각 감독들이 10여 분 남짓으로 만든 홍콩에 대한 애정 어린 송가 일곱 편을 모아 한 편의 영화로 완성했다.
폐막작은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한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타무라 코타로 감독)'이다. 다나베 세이코의 단편 소설이 원작이며, 2003년 이누도 잇신 감독의 실사 영화로도 잘 알려져 있다. 원작 영화보다 희망적인 판타지의 세계가 담겼다.
또한, 전 세계 거장들의 작품이 이번 영화제를 통해 다수 소개된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정상 개최되지 못한 칸 국제영화제의 선정작 56편 중 23편을 부산에서 만나볼 수 있다. 베를린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에 초청된 화제작도 상영된다. 칸영화제 선정작 가와세 나오미의 '트루 마더스', 베니스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된 구로사와 기요시의 '스파이의 아내', 베를린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인 크리스티안 펫졸트의 '운디네' 등이 관객과 만날 준비를 마쳤다.
특히 '미나리'가 국내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라 주목받고 있다. 선댄스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과 관객상을 받은 이 영화는 한국계 감독 리 아이작 정이 연출하고 스티븐 연·한예리·윤여정이 출연한 작품이다.
어렵사리 돛을 올린 25번째 부산국제영화제를 향해 이창동 감독은 "우리 영화인들은 서로 연대하고 함께 용기를 나눠 가져야 한다"고 말했고, 박찬욱 감독은 "영화의 역사는 언제나 커다란 도전과 시련을 극복해온 역사"라고 했다. 영화제 측은 이처럼 거장들이 보내온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면서, 코로나19를 헤쳐나가는 성공적인 영화제가 되길 기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