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18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미재계회의를 마치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으로 ‘세계 7위 항공사 도약’을 노리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꿈이 첫 고비를 맞는다.
조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3자 연합) 측이 제기한 한진칼의 신주발행금지가처분 심문이 25일 오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예정이다. 내달 2일이 KDB산업은행의 한진칼 유상증자 납입일이기 때문에 늦어도 내달 1일 법원의 판단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치열한 법적 분쟁이 예고된 가운데 신주발행금지가처분이 인용된다면 조 회장의 ‘공룡 국적사’ 탄생 바람은 ‘일장춘몽’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최대현 산은 부행장은 지난 19일 간담회에서 “법원의 가처분 인용 시 본건 거래는 무산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 차선책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3자 연합은 한진칼의 인수합병 불발 시나리오에 대비해 ‘실탄 확보’에 나서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CGI 종속회사인 그레이스홀딩스는 지난 12일 메리츠증권과 한진칼 550만주를 담보로 한 계약을 맺었다. 이로 인해 130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한 식구가 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연합뉴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을 포함한 3자 연합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저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만약 합병 성사 시 경영권 분쟁이 사실상 종료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현재 3자 연합의 한진칼 지분율은 46.71%로 조 회장 측 우호 지분율 41.4%에 5%포인트 넘게 앞서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산업은행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8000억원을 한진칼에 지원하면 지분율이 뒤집히게 된다.
산업은행이 제3자 배정으로 한진칼의 10.66%를 지분율을 갖게 되면 조 회장의 우군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2021년 6월 신주 발행이 마무리되었을 때 조 회장의 우호 지분율이 47.33%로 올라간다. 반면 3자 연합은 신주인수권을 모두 주식으로 전환하더라도 지분율이 42.9%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3자 연합은 이를 막기 위해 한진칼의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한 상황이다.
조 회장 측도 절박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지분율에서는 3자 연합에 뒤져있기 때문에 경영권 분쟁의 마침표를 찍기 위해서는 산업은행의 지원이 절실하다. 합병만 성사된다면 국내선 점유율(저가항공사 LCC 포함)이 62.5%에 달하는 대형 국적사로 도약할 수 있다.
독과점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는 양사의 기업결합 승인에 대한 검토 절차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