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7일 경기도 남양주에서 충전 중 불 난 현대차 코나 EV. 남양주소방서 제공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제작결함 관련 신고 건수도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전기차 등록 대수는 13만1923대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말(1만855대)과 비교하면 약 12배 급증한 수치다.
이에 따라 전기차 결함 신고도 급증하고 있다. 올해 1~11월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전기차 결함 신고는 276건으로 2016년(6건)과 비교하면 46배로 뛰어올랐다.
그러나 급증하는 전기차 대수에 비해 관련 전문 인력 및 장비 등 인프라가 미비한 실정이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경우 지난 BMW 화재 사태 이후 인력과 예산이 확대됐으나, 미래차 핵심 기술에 대응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조사 장비와 인력이 내연기관 자동차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실제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EV) 화재와 관련한 결함조사가 늦어지는 데는 장비 부족 문제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방폭 실험실 등 관련 장비가 필요한 데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이런 시설을 갖추지 못해 외부 시설에서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른 결함 검사 수요를 맞추기 위해 총사업비 390억원을 들여 광주에 '친환경자동차 부품인증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공사는 내년 10월 완료 예정이다.
부품인증센터가 하반기 구축을 완료하면 방폭 시설을 갖춘 배터리 전문동을 활용해 실차 테스트까지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부품인증센터가 내년 하반기 가동된다고 해도 당장 인력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단에 따르면 현재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제작결함조사 관련 인력은 38명으로 이중 기계·자동차공학 전공이 29명으로 가장 많고, 전기·전자 전공은 4명, 기타 5명이다. 코나 EV 등 차량 화재 관련 조사 인력은 3명뿐이다.
공단 관계자는 "코나 EV 화재 관련 제작결함 조사 인력 13명을 추가 투입했으나, 여전히 전기차 배터리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전문 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