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판타지에서 판타지가 아닌 '현실'을 담당했다. 삶에 대한 의지 상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앞세워 삶에 대한 집착을 부리게 만든다. 업보로 끌어안은 시한부 인생은 자의에 의한 결과가 아니었기에 외면하고 싶고 탈피하고 싶다. 무너지고 아파하고 예민해 하는 모든 것들이 결국엔 인간이라는 복합적인 존재의 감정이다. 존재 자체를 정의내리지 못하는 복제인간 앞에선 무력한 순간마저 부러운 존재. 이 난해하면서도 무거운 캐릭터를 저만의 방식으로 또 완벽하게 그려낸 공유다.
"고민이 담겨있는 작품" 생각 많은 공유가 '서복(이용주 감독)' 프로젝트에 합류한 이유다. '슬프도록 찬란했던 신'으로 주목도가 가장 높이 치솟았던 시기 쌓이고 쌓였던 시나리오 중 택한 차기작으로 화제를 모았고, 전작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캐릭터를 완성시켰다. 어느 순간 훅 깊어진 분위기와 인물의 설정을 자유자재로 표현해내는 연기력은 작품의 성과와 별개로 빛났다. 배우는 작품으로 말하고, 작품은 곧 배우의 일부분을 확인시킨다. 사람을 고민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힘. 공유의 몸과 마음을 모두 움직였다.
1년 여의 시간이 지나도록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여파는 '서복'에도 영향을 미쳤다. 스크린용으로 제작된 대작 스케일로 지난해 겨울 개봉까지 추진했지만 답없는 시국은 '서복'마저 발목잡고 말았다. 최종 운명은 극장과 OTT 동시 개봉이라는 최초의 길. 어쩔 수 없는 현실을 받아들여도 부담감까지 쉽게 떨쳐낼 수는 없다. 촬영내내 함께한 짝꿍도 없었기에 공유는 "조금 외로웠던 것 같다"며 담담한 속내를 터놨다.
코로나 시국이 바꿔놓은 변화는 또 있다. 배우들의 화상 인터뷰. '서복'을 통해 첫 화상 인터뷰를 접한 공유 역시 시작은 어색한 듯 낯선 듯 고개를 갸웃거렸지만 말미엔 하고 싶은 말을 모조리 쏟아내는 수다쟁이가 됐다. 너무 솔직해 스태프들의 눈치를 슬쩍 슬쩍 보면서도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더 어려운 듯 시간을 지배했고 공기의 흐름을 바꿨다. 해를 거듭할 수록 있는 매력에 없던 매력까지 추가해내는 배우. 긴 공백기 없이 돌아올 공유의 차기 행보를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인터뷰 2편에 이어...
공유 -어느덧 데뷔 20주년을 맞았다. 커피 광고는 10주년이 됐고.
""한 해 한 해 '얼마나 일했나' 카운트를 하지는 않는다. 이번에도 팬분들과 관계자분들이 알려주셔서 '와~ 20주년이구나' 했다. 광고도 10년을 했다는 걸 광고 찍으러 현장에 가서 알았다. 광고주 분들이 '축하한다'며 꽃다발과 케이크를 준비해 주셨는데 정말 진심으로 남우주연상 받은 것보다 기분이 몽글몽글했다. 하하.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 않나. 10년 간 한 광고 모델을 했다는 것에 대한 감동이 크고 감사함을 많이 느꼈다."
-소년같은 분위기는 여전하다.
"체력적으로 예전같지 않다는걸 느끼긴 한다. 주변에서 '레이저 관리해라'라는 잔소리도 많이 하는데 안 한다. 안 했다. 아마 이러다 어느 순간 훅 갈까봐 우려되는 마음에 그러는 것 같은데, 내 관절이 허락하는 한까지 땀 흘리면서 건강하게 체력 관리를 할 생각이다. 레이저보다 땀으로 관리하겠다.(웃음)"
-영양제도 많이 챙겨먹고 있다고.
"으하하하. 소속사 콘텐츠 영상에서 '13알을 먹는다'고 했는데 그게 종류가 다 다른 13개를 먹는 게 아니라 그 중에 같은 것이 5개가 포함돼 있다.(웃음) 약발이 아니어도 나 아직 건강하고 젊다. 걱정은 노파심이다."
-어떤 배우로 흘러가고 싶나.
"내가 지난날을 돌아보는 편은 아니다. 앞으로도 그날 그날 주어진 시간, 하루 하루의 소중함을 느끼고 그 안에서 후회 없게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