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지난 23일 공식 출시한 갤럭시 퀀텀2. IS포토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개발한 두 번째 양자보안 스마트폰 '갤럭시 퀀텀2'(이하 갤퀀텀2)를 지난 23일 공식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플래그십 못지않은 사양에 합리적인 가격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이다. 업계에서 유일하게 적용한 QRNG(양자난수생성) 칩셋은 모든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에 해킹 위험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한다.
보급형서 보기 힘든 OIS·120Hz 주사율 지원
갤럭시 퀀텀2 제품 사진. 왼쪽 상단에는 마이크로SD 카드, 유심칩 슬롯이 있다. 왼쪽 측면 버튼은 없애 간결한 디자인을 완성했다. IS포토 지난 주말 사용해본 갤퀀텀2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감성에 어울리는 간결한 디자인이 첫눈에 들어왔다. 화면 상단에 펀치홀이 뚫린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를 채택했다. 후면은 무광의 플라스틱 소재가 감싸고 있어 쉽게 미끄러지지 않으며, 무게는 176g으로 가볍다. 베젤이 얇아 영상을 시청할 때 몰입감을 보장한다. 다만 손이 두꺼운 사람은 손바닥이 화면에 닿아 원치 않는 터치를 하는 경우가 있어 케이스를 씌우는 것을 추천한다.
제품 하단에는 USB-C 포트와 스피커, 마이크가 있으며 상단에는 유심칩과 마이크로SD 카드를 넣을 수 있는 슬롯이 있다. 볼륨키와 인공지능(AI) '빅스비' 호출 버튼은 우측으로 몰았다. 제품 좌측은 버튼 없는 매끄러운 디자인으로 그립감이 좋다.
'HDR고화질' 옵션으로 실행한 게임 배틀그라운드. IS포토 갤퀀텀2는 삼성전자의 클램셸(조개껍질) 폴더블폰 '갤럭시Z 플립'에 들어간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인 퀄컴의 스냅드래곤 855 플러스 칩셋을 탑재했다. 성능측정 앱 긱벤치를 돌려본 결과, 싱글코어 751점, 멀티코어 2494점이 나왔다. 이는 '갤럭시S10'과 비슷하며, '갤럭시S20' 시리즈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갤퀀텀2는 '갤럭시A82'를 리브랜딩한 모델이지만, 사양은 삼성전자의 보급형 A 시리즈 중 상위에 속한다. 서바이벌 슈팅게임인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을 즐겨봤는데, 화면 끊김이 전혀 없다. 화질과 프레임 옵션을 각각 'HDR고화질'과 '울트라'로 설정해봤는데도 무리가 없다.
갤럭시 퀀텀2는 풀HD+ 해상도까지 주사율 120Hz를 지원한다. IS포토 갤퀀텀2는 120Hz 주사율로 부드러운 모션 및 화면 전환 기능을 지원한다. 다만 풀HD+까지만 적용되며, WQHD+부터는 60Hz로 하향 조정된다. 더 선명한 화질로 콘텐트를 보고 싶다면 주사율을 낮추고, 화면을 스크롤할 때 매끄러운 느낌을 받고 싶다면 화질을 낮추는 대신 120Hz 주사율을 선택하면 된다.
이 제품은 보급형 스마트폰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손떨림 방지(OIS) 기능이 눈에 띈다. 전작에서 큰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심도 카메라를 빼는 대신 보정을 통해 높은 품질의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했다. 수전증이 심해 숨을 참고 신중하게 사진을 찍어야 하는 수고를 덜었다. 주변 밝기 등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접사도 힘들지 않게 찍을 수 있다.
갤럭시 퀀텀2 접사모드로 촬영한 사진. IS포토갤럭시 퀀텀2 광각모드로 찍은 사진. IS포토
보안 기능 접근성 높여야
갤퀀텀2의 강점은 QRNG 칩셋이다. 인간이 예측할 수 없는 물리적인 특성을 활용해 난수를 만들어 데이터 암호화에 쓰이는 암호키에 적용한다. SK텔레콤은 '이중 로그인', '생체 결제 정보 보호', '퀀텀 지갑 증명서 안심 보관' 기능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T월드 로그인 시 2단계 인증을 거치는 모습. IS포토 예를 들어, SK텔레콤의 T월드를 이용할 때 기존에 접속한 기기가 아니면 2단계 인증 절차에 들어간다. 이때 자체 앱이 표출한 인증번호를 눌러야 접속할 수 했다. SK페이의 경우 결제·인증 설정에서 '생체인증 SKT 5GX 퀀텀'을 선택할 수 있다. 지문 등 생체 정보가 흘러나가도 데이터 복호화가 불가능해 타인이 악용할 가능성이 없다.
블록체인 전자지갑 이니셜을 실행하면 '5GX 퀀텀으로 보호되고 있다'라는 메시지가 뜬다. IS포토 개인정보를 포함한 출입증, 자격증, 졸업증명서 등을 담는 블록체인 지갑 '이니셜'은 '퀀텀 지갑'을 통해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증명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밖에 신한은행과 SC제일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갤퀀텀2의 보안 기능을 추가 적용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갤퀀텀2 보안 기능의 진입장벽이다. 보안이 눈에 보이지 않는 영역인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서비스마다 적용하는 방식이 달라 혼란스럽다. 향후 연동 앱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그때마다 설정법을 찾아봐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일상에서 주로 쓰이는 플랫폼의 양자보안 생태계 진입도 시급해 보인다.
하지만 공시지원금을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40만~50만원대에 이 정도 사양의 스마트폰을 만나보기는 쉽지 않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개인정보 유출 걱정 없는 모바일 라이프를 즐기고 싶다면 갤퀀텀2는 훌륭한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