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로 대표 청춘배우 강하늘과 천우희가 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갔다. 청량한 아날로그 감성을 물씬 풍기는 배우들에게 꼭 어울리는 작품이다. 2021년판 '접속' '8월의 크리스마스'를 표방하는 영화 '비와 당신의 이야기(조진모 감독)'는 강하늘의 전매특허 순박함을, 천우희의 가장 아름다운 비주얼을 담아내 관객들에게 봄날의 따뜻함을 선사할 전망이다.
장르는 멜로로 분류되지만 강하늘과 천우희가 직접 만나 호흡을 맞춘건 아니다. 두 사람 사이에는 그 시절의 낭만 '편지'가 놓여있다. 그래서 더 신선하고 설레는 마음을 마음껏 표현했다. 충무로에서 씨가 말랐다는, 그토록 귀하디 귀한 멜로 시나리오를 잡았다는 것 만으로 남다른 의미를 지닌다. 강하늘은 군대에서 남몰래 눈물을 찍었고, 천우희는 강렬한 이미지를 잠시 내려놓고 전도연, 심은하를 잇는 멜로 여주인공이 됐다.
굳이 청춘물을 찾았던 것은 아니지만 앉은 자리에서 쉼없이 읽히는 시나리오를 선택해보니 어느덧 청춘의 대표 얼굴이 된 강하늘. 한 살 한 살 나이를 먹어가며 청춘물을 만나고 싶은 아련한 애정이 샘솟았던 천우희. 그 교차점에서 대중적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소소한 일상에 위안받는 강하늘·천우희 본체와도 결이 비슷한 작품, 그리고 캐릭터다. 따뜻한 봄날 몽글몽글 피어나는 설레임을 가득 안고 따로, 하지만 같은 마음으로 이야기한 강하늘과 천우희의 인터뷰를 영화처럼 한 프레임 안에 담았다.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
-멜로지만 직접 만남이 아닌 편지로 감정 교류를 표현한다.
천= "어렵지는 않았다. 아주 처음엔 '내레이션 연기를 어떻게 하지' 막막하기도 했는데, 첫 시도라는 점에서 더 큰 흥미를 느꼈다. 하고싶은 만큼, 상상할 수 있을 만큼 표현하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라 연기로 교감하지는 못하지만 그 외 구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열려있어 편했다."
강= "나 역시 자유스러움이 컸던 것 같다.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한계치가 없어졌다고 해야 할까? 3단계로 나눠 일단 촬영을 하고 서로 톤을 맞추는 신들도 꽤 있었는데 머릿속에서 창의력이 마구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손편지는 직접 쓴 것처럼 보였는데.
강= "오~ 어떻게 아셨지? 명필이 아니라 예뻐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직접 썼다. '이렇게 쓰여졌으면 좋겠다'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좀 더 편한 말로 바꿔보기도 하고 실제로 몇 번 구긴 적도 있었다.(웃음) 그러면서 연기의 톤도 잡히더라. '이런 글을 쓸만한 감성을 가진 친구겠구나' 싶었다."
천= "난 내 글씨가 아니다. 사실 욕심이 나서 손글씨 인터넷 강의까지 신청해 배웠는데 감독님이 보시기엔 썩 괜찮지는 않았나 보더라. 하하하. 그래서 전문가 분이 따로 써 주셨다."
-편지에 대한 기억이 있다면.
천= "내가 직접 편지를 많이 써 본 적은 없는데, 팬분들이 보내주시는 편지에 늘 소중함을 느낀다. 어떻게 보면 나는 그냥 내 할일을 하며 사는 것인데 그런 내 모습을 누군가가 보고 좋아해 준다는 것 만으로도 감동이지 않나. 본인들 이야기를 써 주실 때도 있는데 매번 크게 위로 받는다."
강= "옛날에 연애편지를 직접 쓴 적이 있다. 어디서 주워들은 명언 같은 것 좀 쓰고, 당시 유행하던 싸이월드에 있는 '퍼가요~♡' 할만한 글들을 적기도 했다. 으하하. 근데 영호의 편지가 조금 더 고차원적이지 않나 싶다. 그래서 영화인 것 같기도 하고.(웃음)"
-특별히 공감되는 지점들이 있었나.
강= "영호가 1000원, 2000원을 소중해 하는 모습이 나온다. 시대를 관통하는 것은 아니지만 캐릭터를 관통하는 공감이었다. 나도 버스비 몇 백원이 아까워하고 고이고이 간직했던 시절이 있다. 그 때가 떠오르더라." 천= "가족에 대한 마음? 소희는 가족을 위해 자신의 꿈을 포기할 정도로 가족을 굉장히 중요한 존재로 여긴다. 나도 그렇다. 가족을 위해서라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을 만큼 가족애가 많이 큰 편이다. 가장 의지하는 관계이기도 하고. 실제로 내가 좋은 딸인지는 모르겠다.(웃음)"
-복고 감성이 작품 전반을 아우른다.
천= "많이 반가웠다. 소희가 머무르는 책방부터 오래 된 패션잡지, LP판, 카세트테이프를 보니까 나보다 전 세대이기는 하지만 기분이 이상했다. 아날로그 감성이 느껴지는 소품이 많아 찾아보는 재미가 있더라."
강= "음악 자체는 아니지만 음악이 사용되는 포인트나 효과, 타이밍에서 굉장한 복고의 향기를 느꼈다. 요즘엔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형식이 세련된 느낌을 준다면, '비와 당신의 이야기'는 싸이월드에 퍼 날랐던 영상의 느낌이 강하다.(웃음) 개인적으로 90년대 음악 중에서는 샵의 '내 입술 따뜻한 커피처럼'을 좋아했다."
-영호는 소희를 비, 수진(강소라)을 별이라고 표현한다.
강= "영호의 감정은 '이 사람이 좋다, 나쁘다' 두개 중 하나로 딱 나눠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감정이 무엇이었다' 규정짓기 전 단계의 느낌이라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그런 어중간한 마음에서 사람 자체를 보고 느낀 분위기를 전한 것이다. 연기를 할 때도 '좋아해'라는 확실한 체계를 빼보자 했고, 확실한 감정에 의해 움직이기 보다는 흘러가는 감정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는 힘을 받는 것이라 생각했다. 정의되지 않은 상황이 묘하면서 괜찮았다."
-소희에게 영호는 어떤 존재일까.
천= "가뭄 속의 단비 같은 느낌? 소희가 편지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자신이 아닌 언니에 대한 마음 때문이었다. 추억이 될 만한, 활력이 될 만한 일을 만들어 주고자 한 것이었는데 어느 순간 소희에게 더 위로가 된 거싱다. 지친 일상에 조금은 위안을 주는 단비 같은 사람이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