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가 12일 중노위의 조정 중지 선언으로 파업권을 확보했다. 현대차 노조 제공 현대자동차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취임 이후 첫 파업 돌입 초읽기에 들어갔다.
12일 현대차에 따르면 중앙노동위원회는 이날 현대차 노사의 임단협과 관련한 쟁의 조정 결과 노사 간 입장 차이가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현대차 노동조합은 합법적으로 파업 등 쟁의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노조는 13일 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파업 돌입 여부와 수위, 일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해 현대차 노조는 임금 협상 11년 만에 동결에 합의했다. 또 2년 연속 무분규 합의로 협상을 마치는 등 개선된 노사 관계를 구축하는 듯 했다. 하지만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이 난항을 겪자 지난달 30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지난 7일 쟁의행위 투표에서는 조합원의 73.8%가 파업에 찬성해 가결됐다.
현대차는 지난 9일 파업을 피하기 위해 교섭 재개를 요청했다. 하언태 현대차 사장이 노동조합을 방문해 이상수 노조지부장을 비롯한 노조 간부들과 만났다. 하 사장은 "조속한 교섭 타결을 위해서는 노사 간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견을 좁히고 합리적 접점을 모색해 교섭 마무리에 집중하자"고 의사를 밝혔다.
파업권을 확보한 현대차는 기아차와 연대 투쟁을 형성하는 강경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현대차의 쟁의행위 결의를 지지하며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해 10월 취임 후 울산공장을 방문해 이상수 지부장과 오찬을 함께 하며 안정된 노사 관계를 약속한 바 있다. 또 미래 발전을 위한 노사 간 적극적인 소통도 다짐했다. 정 회장은 “노사관계 안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직원의 만족이 회사발전과 일치될 수 있도록 함께 방법을 찾아가자”며 “노사 간의 단체협약은 중요한 것이다. 조합원 고용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사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대차 내부 MZ세대 중심의 사무직 노조는 ‘노사 간 소통 부재’며 지적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센티브에 대한 공정성, 투명성을 요구했지만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현대차 생산직의 임단협 결렬까지 더해지며 마찰을 빚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임금 9만9000원(정기·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성과금 30% 지급, 만 64세 정년연장, 국내 공장 일자리 유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기본급 월 5만원 인상, 성과금 100%+300만원, 격려금 200만원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근로자 1인당 1100만원의 인상안이지만 노조 측이 거부하고 있다. 노조 측은 60세인 현행 정년을 4년 더 늘려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년 연장’ 조항에서 이견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장이 지난해 11월 3일 회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현대차 노조와 만남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