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2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거래 신고 건수는 총 4만1713건으로, 2012년(4만179건) 이후 9년 만에 가장 낮았다. 직전 해인 2020년 거래량(8만1189건)의 절반 수준이다.
이는 전형적인 '불황형 집값 상승'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은 11월까지 7.76%나 뛰며 2006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거래량은 역대 두 번째로 감소했다.
지난해 9월을 기점으로 거래량 감소세가 뚜렷해졌다. 2021년 9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총 2706건으로 전월(4217건)의 64% 수준으로 줄었다. 이어 10월 2174건, 11월 1354건으로 감소했다. 특히 작년 12월 거래량은 이달 1일까지 신고된 건수를 기준으로 567건에 그쳐 2008년 12월(1523건)을 밑도는 역대 최저를 기록할 전망이다.
매매가 뜸해지자 하락거래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 결과 서울 아파트값 하락 지역이 2주 전 은평구 한 곳에서 지난주에는 은평·강북·도봉구 등 3곳으로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역시 지난주 93.5를 기록하며 2019년 9월 16일(93.0)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저를 나타냈다.
정부의 '돈줄 죄기'와 향후 치러질 대선을 의식한 흐름이란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관리를 위해 금리 인상을 했다. 시중 은행도 대출 문턱을 높였다. 당장 이달부터 총대출액이 2억원 이상이면 차주 단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된다.
올 3월 대선도 주요 이슈다. 주요 후보들이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관련 규제 완화 공약을 내놓으면서 시장의 관망도 길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주택자는 양도세 중과 유예가 시행된 후 매매하기 위해 매물을 거둬들이고, 매수자는 양도세 중과 회피 매물이 늘어 집값이 하락한 뒤 사려고 기다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강남 3구와 용산, 여의도 등 호재가 있는 지역을 제외하고 거래도 뜸하고 하락거래도 등장하고 있다. 집값이 단기 급등한 것에 따른 피로감으로 숨 고르기를 하는 데다가 대선 향방을 지켜보는 수요가 늘어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