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식당에서 카드 결제하는 모습 카드사들이 합심해 하나의 앱에 모든 신용·체크카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페이'가 상반기에 상용화될지 주목된다.
10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여러 카드사의 카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 있는 '오픈페이'의 출시 시점을 올해 상반기로 잡았다.
오픈페이는 지난해 11월 카드사들이 상호 호환등록을 위한 연동 규격과 표준 API를 개발하면서 시작됐다. 이는 각 카드사의 페이 서비스를 다른 카드사에 개방해 고객이 모든 카드를 한 카드 앱에 등록할 수 있도록 규격을 만든 것이다.
오픈페이 서비스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은행의 오픈뱅킹 서비스와 유사하다. 즉, 하나의 은행 앱에서 여러 은행 계좌를 연동해 조회·이체할 수 있는 오픈뱅킹처럼, 하나의 카드사 앱에서 여러 카드사의 카드를 연동해 결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신한카드 앱 '신한플레이'를 주로 사용하는 고객 A 씨가 삼성카드를 신한플레이에 등록해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신한·KB국민·롯데·하나·비씨카드가 오픈페이 사업에 참여하기로 합의했다. 이외 삼성·현대·농협카드는 향후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대형 카드사들이 이처럼 각 페이 서비스의 문을 열어 범용성을 높이는 데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주도권을 갖고 성장 중인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다.
대표적으로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 등이 모든 카드사의 결제가 가능하고, 계좌연동과 충전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일평균 이용금액은 2762억원으로 전년 대비 57.3% 급증했다.
반면 전금업자결제내 카드(신용+체크) 비중은 지난 2019년 상반기 73.5%에서 2021년 상반기 64.3%까지 줄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중소형 카드사 입장에서는 오픈페이에 참여했다가 괜히 대형 카드사에 고객을 뺏길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면서도 오픈페이 사업에 많은 카드사가 참여해야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 빅테크의 페이 앱에서 모든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 카드사가 위기의식을 갖고 있다"며 "빅테크만큼 고객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