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루프' 가동한 베이징 올림픽...외부와 차단된 선수촌.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열린 2020 도쿄 하계올림픽은 선수촌의 '골판지 침대'가 화제를 모았다. 선수들은 "크기도 작고, 무너질 것처럼 불안한 마음이 든다"라며 볼멘소리를 남겼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선수촌에는 첨단 전동 침대가 비치돼 있다. 미국 루지 선수 서머 브리처가 리모콘을 들고 침대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인 소셜미디어(SNS)에 올려 주목을 받았다. 심장 박동과 호흡까지 체크하는 기능을 갖췄다고.
베이징 올림픽 선수촌 내부의 편의 시설은 호평을 받고 있다. 그래도 선수들은 답답할 수밖에 없다. 외부로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개최국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대회 참가자들의 동선을 제한하고 있다. 대회 기간 내내 선수촌과 경기장만 오갈 수 있다.
한 국가대표 선수는 "베이징에서 먹고 싶은 음식이 있었는데 갈 수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휴식을 취하는 방식은 선수마다 차이가 있다. 누군가는 이런 상황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산책조차 마음껏 할 수 없는 선수촌 생활. 태극전사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심신을 관리하고 있다.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김민석과 쇼트트랙 황대헌은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기려고 한다. 김민석은 "원래 혼자서 잘 논다. (선수촌) 생활로 컨디션이 저하되지 않는다"고 했다. 황대헌은 "선수촌 시설이 좋다. 침대에 누워 있는 것도 편하다. 좋은 경기를 치를 생각만 하고 있다"고 했다.
장자커우 선수촌에서 열린 바이애슬론 티모페이 랍신의 생일을 기념하는 작은 이벤트. 사진=대한체육회 황대헌을 제외한 남자 쇼트트랙 선수들은 예능 프로그램을 함께 시청하며 긴장을 푼다. 최고참 곽윤기는 "나는 개인 첫 올림픽(2010 밴쿠버) 때 방에서 혼자 있었다. 요즘 젊은 선수들이 나보다 낫다. 긴장도 잘 안 하는 것 같다"며 웃었다.
여자 쇼트트랙 '메달 기대주' 이유빈은 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마음을 다잡고 있다. 그는 "4년 전 평창 대회와 비교해 자유롭지 못한 게 맞다. 올림픽은 축제인데, 그런 분위기가 나지 않아 아쉽 다"며 "폐쇄된 상황 속에서 처지지 않고, 얼마나 대회를 즐길 수 있는지가 베이징 올림픽 성공 키워드가 될 것 같다"라고 했다. 개인 세 번째 올림픽에 나서는 남자 스피드스케이팅 김준호는 "관중이 많으면 더 힘이 날 텐데, 조용할 것 같아서 아쉽다"면서도 "(코로나 시국에) 대회를 준비했기 때문에 큰 상관은 없을 것 같다. 관광하지 못하는 점은 조금 아쉽지만, 선수촌 생활은 평창 대회와 비슷하다. 음식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