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보통주의 시총은 지난 14일 402조9600억 원으로 코스피 시총(2131조 원) 대비 18.91%의 비중을 기록했다. 국민주라 불리는 삼성전자 시총 비중이 18%대로 내려앉은 건 2019년 6월 18일(18.95%) 이후 처음이다. 당시 코스피 시총은 1397조 원, 삼성전자 시총은 264조8000억 원이었다.
연초 이후 삼성전자 주가가 코스피보다 부진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들어 코스피가 8.70% 하락하는 동안 삼성전자는 13.92% 떨어졌다. ‘동학개미’들이 올 들어 삼성전자 매수에 9조 원을 쏟아붓으며 주가 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지난 1월 LG에너지솔루션이 시총 100조 원이 넘는 규모로 상장하면서 코스피 시총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으나 대형 인수합병(M&A) 지연과 휴대폰 기기 결함 등의 악재들로 주가가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은 77조 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50.3% 증가한 14조1000억 원으로 1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그러나 1분기 실적이 발표된 지난 7일부터 10거래일 간 주가는 1.61% 하락했다. 지난 18일 장중 6만6100원까지 내려가며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 따른 정세 불안과 코로나19 일상 회복으로 정보기술(IT) 제품 및 반도체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1월부터 수요가 부진한 스마트폰 이외에 4월 대만 노트북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들의 물량도 전월 대비(MoM) 13%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1분기 이후 실적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업종이 견조한 실적을 보여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IT 수요 부진 현상이 실제로 확인될 수 있으나 우려가 선반영됐기 때문에 오히려 주가는 '악재 노출'의 논리로 반등할 전망"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