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패션 기업들이 실적에 날개를 달았다. 코오롱인더스트리FnC(코오롱FnC)와 삼성물산 패션 부문,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K패션 간판 기업들이 전년보다 큰 폭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글로벌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 한세실업과 영원무역도 호실적을 자랑했다. IB 업계에서는 패션 업계가 '슈퍼사이클(초호황)'에 진입했다며 2분기에는 더 나은 실적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슈퍼사이클 진입한 패션가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패션 대기업인 코오롱FnC와 삼성물산, 신세계인터내셔날, LF, 한섬 등 5개 업체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975억 원이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 5개사 영업이익 1040억 원보다 2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사실상 팬데믹 이전으로 완전히 복귀했다.
세부 내용이 나쁘지 않다. 코오롱FnC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600% 늘어난 154억 원을 달성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2.2% 상승한 2663억 원이었다.
삼성물산은 이른바 '신명품' 선전 덕에 매출 4740억 원으로 12.6%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4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 급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영업이익은 33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6% 늘었고, 매출도 3522억 원으로 3% 오르면서 사상 최대 성적을 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한섬은 여성복이 고른 성적을 내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17.4% 증가한 3915억 원, 영업이익은 30.7.% 늘어난 591억 원을 벌었다. LF그룹 역시 매출 4508억 원으로 전년보다 1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4.3% 늘어난 479억 원을 달성했다.
대기업만의 일은 아니다. 해외 업체로부터 수주를 받아 의류 만들어 수출하는 OEM 기업도 분위기가 좋다. 영원무역은 올 1분기 영업이익 1458억7138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2%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663억7061만 원으로 34.9% 늘었다. 한세실업은 1분기 매출 5812억 원으로 전년 동기 3756억원 대비 5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66% 증가한 490억 원, 영업이익률은 8.4%였다.
앞서 메리츠증권은 올해 국내 의류 OEM 업체가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서구권의 패션 부분 성장세가 가파르고, 특히 최대 소비국인 미국은 소매 의류 재고율은 최저치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IB 업계는 영원무역과 한세실업이 올해 최대 실적을 작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리오프닝에 소비 확대 스튜디오 톰보이의 '톰보이 스포츠 클럽'. 신세계인터내셔날 업계는 호실적의 비결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소비 회복을 꼽는다. 그동안 집에서 머무느라 옷 구매를 하지 않았던 소비자들이 비대면이 종료되자 모임이나 출근 등 외출할 때 입고 나갈 옷부터 사고 있다는 것이다.
패션 기업의 한발 빠른 움직임도 도움이 됐다. 코오롱FnC와 신세계인터내셔날 등은 최근 골프와 테니스 등 스포츠에 입문하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늘자 관련 브랜드 론칭에 집중했다. 덕분에 코오롱FnC의 골프웨어 브랜드 '왁'은 올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77% 신장했다.
삼성물산 패션 부문은 빈폴 골프와 구호, 토리 스포츠 등을 앞세워 스포츠웨어 사업을 전개 중이다. 구호는 지난해 하반기 처음으로 가을·겨울 시즌 골프웨어를 출시했는데, 반응이 나쁘지 않았다. 구호는 올해도 구호 골프 캡슐 콜렉션 신제품을 내놨다. 코로나19 속에 단행한 자사몰 비중 확대도 빛을 봤다. K패션 대기업들은 수수료가 발생하는 플랫폼 입점 외에도 자사몰로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썼는데, 성과가 나오면서 영업이익도 늘었다.
1분기보다 2분기 실적이 더 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거리두기 정책 해제로 의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중장년층 및 유아·아동층의 패션 소비가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연중 성수기 중 하나인 5월 가정의 달이 있기 때문에 2분기에도 관련 업체들의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현장 분위기가 아주 좋다. 1분기보다 2분기를 더 기대하는 눈치다"며 "리오프닝 특수가 겹치면서 올해가 매출과 영업이익 부분에서 패션가는 너나 할 것 없이 크게 점프하는 원년이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