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판매 플랫폼 마켓컬리가 국내 이커머스 1호 상장을 향해 직진한다. 투자 업계 안팎에서는 국내·외 기업공개(IPO) 환경이 침체했다면서 마켓컬리의 상장 일정도 내년으로 미뤄지지 않겠느냐고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마켓컬리의 운영사 컬리 측은 "아직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시장이 침체했다고 해서 상장 일정을 내년으로 변경하는 것은 현재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컬리는 지난 3월 28일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45거래일 안에 결과를 통보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31일이 마지노선이었다. 그러나 컬리 측은 지난해에도 상장예비심사에 45일을 넘기는 사례가 대부분이었다는 입장이다.
상장예비심사 결과가 아직 나오지도 않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컬리가 상장을 내년으로 연기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최근 IPO 시장 환경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됐고,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전환으로 이커머스 시장의 전망이 밝지 않다. 실제로 미국의 1위 이커머스 플랫폼 아마존의 주가는 2일 현재 지난 1월 3일 3408.09달러(약 426만원)보다 약 30%가량 추락했다.
아마존 측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기인한 인플레이션으로 물류비 같은 고정비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밝혔으나 업계는 엔데믹 전환으로 인한 실적 악화가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쿠팡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50% 이상 하락했다.
일부에서는 컬리 지분 상당수가 외국인이 갖고 있다는 이유로 재무적투자자(FI)들이 상장 뒤 투자금 회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김슬아 컬리 대표의 지분율은 지난해 말 기준 5.75%로 6대 주주다. 컬리 지분의 과반은 외국계 벤처캐피털(VC)이 보유 중이다.
컬리 관계자는 "김슬아 대표의 지분이 낮아진 것은 개인적인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마켓컬리의 인프라를 확충하는 과정에서 FI를 유치하면서 어쩔 수 없이 이뤄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른바 경영자가 '상장 뒤 먹튀'를 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김 대표는 아직도 마켓컬리에 입점하는 상품 모두를 일일이 체크하는 등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상장 뒤에도 마켓컬리를 최고의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키우기 위해 계속 도전을 해 나갈 것"이라고 못 박았다. 김 대표는 여러 FI와 상장 뒤에도 곧바로 지분을 팔지 않고 함께 성장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논의 중이라는 것이 컬리 측의 설명이다.
컬리의 매출액은 2019년 4289억원, 2020년 9531억원, 지난해 1조5614억원까지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2177억원의 영업손실을 보는 등 적자 늪이 깊다. 마켓컬리는 실적 개선을 위해 가전과 화장품, 여행까지 취급 카테고리를 늘리면서 외형 확장과 수익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수년 사이 국내 벤처 창업 환경은 큰 진보를 이뤘다. 그러나 아직 여성 창업주가 유니콘(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인 스타트업)을 키워내고 경영까지 이어나가고 있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
회사 관계자는 "김 대표는 업계에서 보기 드문 여성 벤처 기업인이다. 계획대로 상장을 추진해 투자를 늘려 마켓컬리의 꿈을 이어가야 할 책무를 알고 있는 경영자"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