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신년사 발표하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신한금융지주의 주가가 최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주주들을 만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KB금융지주와 리딩금융을 다투는 신한금융이지만, 주가는 하나금융지주에 뒤진 3위에서 고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3연임의 기로에 선 올해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주가 부양을 위해 남다른 '한방'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신한금융의 주가는 4만18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말 신한금융 주가는 4만3450원까지 오르면서 지난 1년 중 가장 높게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그동안 신한금융 주가는 다른 금융지주 주가보다 회복세가 더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조용병 회장이 주가 부양 의지를 계속해서 피력하고 있지만, 신한금융의 호실적에 못 미치는 주가에 주주들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4대 금융지주사 중 신한금융은 KB금융(5만7400원), 하나금융(4만6750원)에 이어 3위다. - 신한금융은 2020년과 2021년 2년 연속 1등 금융그룹 자리를 KB금융에 내줬고, 올해 1분기에도 500억원 차이로 2등에 머물러야 했다.
또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신한금융의 2분기 실적은 매출 4조3450억원, 영업이익 1조7591억원, 순이익 1조4048억원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20.6%, 3.9%, 9.9% 늘어난 규모다.
하나금융의 경우 2분기 매출 3조2680억원, 영업이익 1조3414억원, 순이익 987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은 신한금융보다 낮은 실적을 이어오고 있지만, 주가는 신한금융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다.
이에 주식 커뮤니티에서는 "금리도 실적도 반영 안 되는 신한지주 주가" "회사가 주가 관리를 안 한다" "이러다가 유상증자해서 주주들 뒤통수 치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 등의 불만 섞인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신한금융이 주가 관리에 소홀했던 것은 아니다.
금융지주 중 처음으로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은 분기 배당을 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이를 정례화한 것이 가장 큰 이슈였다. 이후 KB금융지주도 신한금융의 뒤를 따르면서 주주환원 정책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신한금융이 분기 배당을 정례화하기 시작하면서 주가 부양 효과를 어느 정도 봤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조 회장은 올해 금융지주 회장 중 처음으로 자사주 매입에 나서면서 적극적으로 주가 관리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다.
조 회장은 4대 금융그룹 회장 중 올해 가장 처음으로 지난 2월 자사주 1200주를 주당 3만8400원에 매입해 총 보유 주식을 1만4780주로 늘렸다. 보유한 우리사주조합 조합원 계정을 포함할 경우, 보유 주식은 1만8380주로 불어난다.
적극적인 자사주 소각 행보도 보인다. 올해 초 신한금융은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시장 내 주식 수가 감소해 주당 가치가 높아진다.
이 밖에도 조용병 회장은 직접 해외 투자자들을 위한 IR을 위해 해외 출장길에 나서는 등 주식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책임경영을 펼치기도 했다.
금융업계는 주가 부양을 위한 실효성 있는 '한 방'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창의적인 성장 모멘텀을 기대한다는 목소리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분기 배당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소각이나 아시아신탁 인수를 통한 포트폴리오 확대는 꾸준히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