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서울센터 전경. 포스코 제공 포스코의 성폭력 파문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내부 감사에서 경징계로 쉬쉬하며 덮으려 했던 포스코의 미온적 태도가 2차 가해 등 사건을 더욱 키웠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26일 경북 포항남부경찰서에 따르면 포스코 포항제철소 여직원 A 씨가 같은 부서에 근무하는 직원 B 씨로부터 성폭행을 당했다고 고소해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A 씨는 술자리에서 성추행(2명)과 성희롱(1명)을 했던 상사 3명을 별도로 고소했다.
A 씨는 이미 지난해 B 씨를 성추행과 관련해 고발했다. 포스코는 자체 1차 감사를 통해 B 씨에게 3개월 감봉 처분을 내렸고, A 씨를 타부서로 전출시켰다. 하지만 포스코는 3개월 후 다시 A 씨를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현부서로 복귀시키면서 이번 성폭력 파문의 단초를 제공했다.
지난달 말 B 씨는 같은 사택에 사는 A 씨 집에 들어가 때리고 성폭력까지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 씨의 이 같은 고소 이후 포스코는 자체 조사했지만 가해자와 피해자가 같은 사택 건물 위아래 층에서 함께 지내는 것을 10일 이상 방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성폭력 사건 이후 주고받았던 SNS가 공개되면서 더욱 비난이 일었다. 가해자는 “기억은 못 하지만 실수를 인정하고 뉘우친다”는 내용을 피해자에게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그제야 포스코는 대표이사 명의로 사과문을 내며 뒤늦게 수습에 나서는 모양새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지난 23일 “최근 회사 내에서 발생한 불미스러운 성윤리 위반 사건에 대해 피해 직원 및 가족분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리며 회사는 엄중하게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해 직원이 조속히 회복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조처를 하고 관련자를 철저히 조사해 엄중히 문책하고 관리자들도 무거운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이어 김학동 부회장은 “성윤리 위반 등 4대 비윤리에 대해서는 원스트라이크아웃 제도를 시행하는 등 엄격한 잣대로 임직원의 윤리의식을 높여왔다”고 덧붙였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하지만 포스코에서 주장한 원스트라이크아웃 제도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가해자에게 3개월 감봉에만 그치는 사실상 경징계를 내렸고, 내부적으로 사건이 커지지 않게 쉬쉬했다. 되레 여직원을 도왔던 같은 부서 직원에게 엄격한 잣대를 적용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피해 여성을 도와주고 회사의 부당함을 항변했던 부서 남성 직원은 어떠한 경찰조사나 법적 처벌이 없었음에도 6월 17일 해고됐다”고 했다.
성폭력 사건과 관련한 포스코의 대응과 공정성에 대한 비난도 거세다. 김학동 부회장은 “금번 사태를 통해 아직도 회사 내에 성윤리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하는 등 직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를 보였다.
포스코의 직장 내 성희롱 예방지침에 따르면 외부인사가 참여할 수 없다. 공정한 조사를 위해서는 여성단체, 노동부 등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지만 포스코는 성 문제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수사하고 종결하는 행태를 보여왔기 때문에 성 관련 사건이 반복되고 있다.
포스코에서는 지난해부터 50대 남성 직원의 협력 경비업체 여직원 갑질과 성희롱, 같은 동성 직원 간 성추행 등 성윤리 위반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의 미온적 처사에 노조는 “조사 과정에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피해자의 신분이 공개되어 동료 직원들로부터 왕따를 당하는 등 고통을 겪었고, 극단적인 행동을 할 만큼 괴로웠다고 한다”며 2차 가해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