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은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개인 거래가 불가한 품목이 다수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소비자원의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1년간 당근마켓과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 등에 올라온 개인 거래 불가 품목 9종의 판매 게시글은 총 5434건이었다. 이 가운데 영업 신고를 하고 판매해야 하는 건강기능식품 판매 게시글이 50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온·오프라인 거래가 금지된 화장품 샘플이나 소분 제품(134건), 판매소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종량제 봉투(62건)도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됐다. 또 시력 교정용 제품(45건), 철분제를 비롯한 의약품(76건), 담배나 술 같은 기호식품(5건), 동물의약품(4건) 등은 온라인 판매가 금지돼있지만, 판매 글이 확인됐다.
영업허가가 필요한 수제식품(16건), 판매업 신고를 해야 하는 의료기기(63건)도 중고로 거래됐다. 중고거래 플랫폼 4곳은 모두 공지사항에 거래 불가 품목을 안내하고 있었지만, 당근마켓과 헬로마켓은 판매 게시글 작성 단계에서 이런 내용을 알기가 어려웠다.
거래 불가 품목 검색어 차단 기능도 운영하고 있었지만, 약칭이나 은어로 검색하면 차단이 되지 않았다. 실제 소비자원이 지난 4월 중고거래 플랫폼 4곳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천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45.9%가 거래 불가 품목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중고 거래를 주로 하는 품목은 생활용품(21.1%)과 가전제품(16.2%), 의류(13.7%)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개선점으로 거래 안전성 확보(30.0%), 불량판매자 페널티 제공 등 이용자 필터링(28.7%), 개인 판매자로 위장한 전문 판매자 차단(13.7%)을 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