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국 전 선수 격려하는 벤투 감독 (영종도=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파울루 벤투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이 17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2022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에 출전하는 대표팀 선수들을 격려하고 있다. 2022.7.17 d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올해로 9회째를 맞는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에서 한국 남자 축구대표팀은 통산 다섯 차례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대한축구협회(KFA)는 19일부터 27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동아시안컵을 하루 앞두고 대회 역사를 소개했다. 지난 2003년 동아시아 10개국 축구 발전과 건전한 경쟁을 위해 창설된 이 대회는 한국, 북한, 일본, 중국이 우승을 다퉈왔다. 한국 남자대표팀은 8번 중 최다인 5번 우승을 따냈다. 여자대표팀은 2005년 대회 우승 이후에는 한 번도 왕좌에 오르지 못했다.
한국은 대회 원년인 2003년 정상에 올랐다. 안정환, 유상철, 최진철 등 2002 월드컵 멤버들을 앞세운 한국은 홍콩과 중국을 꺾고, 마지막 경기에서 일본과 0-0으로 비겨 2승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보다 더 강렬한 건 중국전에서 상대 선수의 뒤통수를 때리고 퇴장을 당한 이을용의 이른바 ‘을용타’였다.
남자 대표팀은 2005년 대전, 전주, 대구에서 열린 2회 대회에선 꼴찌를 차지했다. 3명이 퇴장을 당한 중국과 1-1로 비기기도 했다. 이어 북한전 무승부와 일본에 0-1로 져 최하위에 그쳤다. 독일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던 요하네스 본프레레 감독은 얼마 뒤 경질됐다. 하지만 허정무 감독이 팀을 이끈 2008년엔 다시 정상에 올랐다.
2010년 일본에서 열린 4회 대회에선 한국이 중국에 0-3으로 패해 32년 동안 이어지던 중국전 무패 '공한증'이 끝이 났다. 하지만 한국은 일본전에서 김정우의 퇴장에도 불구하고 이동국, 이승렬 등의 득점으로 3-1 역전승을 거둬 제2의 ‘도쿄대첩’을 완성했다. 이 대회에선 중국이 우승했고, 한국은 2위를 차지했다.
2013년 국내에서 열린 대회에선 일본이 우승했다. 한국은 3위에 올랐다. 당시 일본전은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렸는데, 일본 관중석에 욱일기가 걸렸고 한국 대표팀 서포터즈인 ‘붉은악마’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대형 현수막으로 맞불을 놓았다. 한국은 해당 경기에서 1-2로 일본에 졌다.
2019년 대회에서 우승한 한국. [사진 대한축구협회] 2015년부터는 한국이 동아시아 축구 최강자의 자리를 지켰다. 특히 2019년 파울루 벤투 감독이 지휘한 남자 대표팀은 부산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아 3연패는 물론 대회 남자부 역사상 첫 홈팀 우승을 이뤄냈다. 일본전(1-0 승) 결승골을 넣은 황인범이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