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영은 종영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우영우’)에서 주인공 우영우의 하나뿐인 친구 동그라미로 나왔다. 동그라미는 우영우가 학창 시절 억울한 상황에 처했을 때 통쾌한 사이다 복수를 해주며 친구가 됐다. 동시에 영우가 처음으로 다가간 인물이기도 하다. 드라마 첫 등장과 동시에 매력은 폭발! 영우의 고민 해결에 앞장서는 모습은 왠지 모르게 시청자를 대변해 주는 기분도 들었다. 주현영은 톡톡 튀는 개성과 패션, 말투, 행동 모두 동그라미에 스며들었다. “동그라미 역할에 부담감을 느꼈다”는 말이 무색할 만큼 주현영이 아닌 동그라미는 상상이 안 갔다.
드라마 밖에서 만난 주현영은 차분하고 신중한 분위기였다. 원래 동그라미의 성격과는 정반대라고 털어놓으며 “동그라미를 통해 속 시원하게 연기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시원섭섭한 마음을 전했다.
사진=AIMC 제공 -종영 후 어떻게 지내나.
“‘우영우’를 촬영하면서 다른 드라마, 영화를 촬영하고 있었다. ‘우영우’가 끝나서 드라마 하던 걸 마저 찍고 있고 영화는 얼마 전 마지막 촬영을 끝냈다. 지금은 SNL에서 새롭게 시트콤을 촬영하게 돼서 하고 있다.”
-인기를 예상했나. “어떤 반응이 있을 거라고 예상 못 했다. 반응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얘기를 안 하고 시작했고 대본을 믿고 가려고 했다. 결과물이 너무 좋아서 아직도 어안이 벙벙하다.”
-촬영장 분위기는 어땠나. “배우 모두가 감독님과 작가님이 우리를 모아준 것만으로도 너무 운명인 것 같다고 대놓고 말하는 편이었다. 표현에 인색하지 않아 서로 배려도 많이 했다. 연기할 때도 서로를 믿고 편하게 하다 보니 재미있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 것 같다.”
-주변의 반응은. “가족들도 나처럼 어안이 벙벙하고 신기해한다. 주변 대부분이 연기를 하는 친구들이라 연기 피드백을 많이 줬다. ‘잘 돼서 좋다’. ‘잘 됐으면 좋겠다’는 말들은 부담이 될까 봐 잘 안 안해주더라.” 사진=AIMC 제공-신인 개그맨이라고 착각한 사람들이 꽤 많은데. “그 부분에 대해 우려되는 부분이 있지 않냐고 많이 들었다. 어릴 때부터 희극을 좋아했고 주성치 영화도 너무 좋아했다. 지금의 내가 좋아하고, 열정을 쏟아부을 수 있는 것들을 만끽할 수 있는 것에 행복을 느낀다.”
-동그라미와의 싱크로율은. “아예 없다. 평상시에는 체면도 많이 차리고 눈치도 많이 보는 편이라 동그라미를 연기한다고 했을 때 많이 부담스러웠다. 내가 동그라미에 공감이 안 되는데 과연 자연스럽게 연기할 수 있을지 걱정됐다. 그러다 어느 순간부터 내가 동그라미에게 공감을 못 하는 게 아니라 표현해내는 것에 익숙하지 못했다는 걸 알았다. 동그라미를 통해서 속 시원하게 연기할 수 있어서 좋았다.”
-캐릭터 구축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일본 만화나 영화 속 캐릭터를 레퍼런스로 참고했다. ‘불량공주 모모코’ 주인공의 친구가 동그라미처럼 거침없고 과감한 친구로 나온다. 그 캐릭터의 표정과 행동을 참고했다. 우리나라 작품이 아니다 보니 정서가 다를 수도 있어서 참고만 하고 내 방식대로 녹여냈다.”
-박은빈의 조언이 있었는지. “(박)은빈 선배는 언제든 꺼내 볼 수 있는 교과서다. 첫 촬영 때 자신감이 떨어진 상태로 시작했다. 내 연기가 누군가에게는 과해 보일까 봐 두려웠다. 그래서 선배에게 만족스럽지 않다고 얘기하니 ‘감독님을 믿어도 된다. 동그라미로서의 최선이었으니 자책할 필요 없고 충분히 잘했다’고 첫 촬영 때 얘기해주더라. 극 중 영우가 동그라미한테 반했던 순간처럼 나도 그 순간 선배한테 ‘뿅’ 반했다.” 사진=AIMC 제공-동그라미처럼 쿨하게 짝사랑 접을 수 있나. “비슷한 것 같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날 좋아하지 않으면 자존심 상하기도 하고(웃음). 인연을 끝까지 끌고 나갈 의지나 의욕이 안 생기는 편이다. 동그라미는 나보다 더 쿨한 친구라 언제든 권모술수보다 더 멋진 사람이 나타나면 바로 고개를 돌릴 수 있는 친구라고 생각했다.”
-다양한 장르를 도전할 수 있다면. “공포영화를 좋아한다. 극한의 상황에 처했을 때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감정이나, 나올 수 있는 본능적 행동들이 궁금하다. 늘 그런 부분에 호기심을 느끼는데 평상시에는 느껴볼 수가 없고 연기할 기회도 없다 보니 작품에서라도 그런 상황들을 마주해보고 싶다.”
-옷 스타일이 독특했는데. “처음에 작가님이 주문을 정확히 줬다. 힙하지만 힙하지 않아 보이게, 따라 하고 싶지만 따라 하고 싶지 않아 보이게. 너무 난감하더라. 그러다 스타일리스트 실장님께서 모든 착장을 구상해줬다. 나는 ‘이 옷은 동그라미가 불편해서 안 입을 것 같다’, ‘좋아할 것 같다’ 하는 작은 의견들만 보탰다.” 사진=AIMC 제공-털보 사장 임성재와도 친해졌을 거 같은데. “처음에 (임)성재 선배가 털보네 주점을 놀이터라 생각하라고 하셨다. 연기에 맞게 리액션 할테니 하고 싶은 거 마음껏 하라고. 그 부분들이 감사했지만, 한편으로는 부담도 느껴졌다. 잘 해낼 자신이 없다고 털어놓으니 ‘내가 생각을 잘못했네. 너가 재미있는 반응을 할 수 있게 나도 뭔가를 해볼게’라고 하더라. 극 중간부터는 선배도 반응 이상으로 엉뚱한 행동들을 많이 했다. 그걸 보는 동그라미의 반응이 또 나오고. 정말 잘 맞았다.”
-촬영 에피소드가 있다면. “생각보다 애드리브 장면이 많았다. 특히 1회에서 영우랑 ‘아에이오우’ 발성 연습하는 신은 대본에 없었다. 감독님이 안 끊고 계속 지켜보더라. 뭐라도 해야겠다 싶어서 ‘자 이제 발성 연습을 해보자’ 했더니 은빈 선배도 당황하지 않고 재치 있게 받아줘서 고마웠다.”
-주인공도 잘 해낼 것 같은데. “주인공을 맡는다는 게 주목도 받겠지만 정말 쉽지 않은 자리라고 생각한다. 은빈 선배를 보면서 더 느꼈다. 연기만 신경 쓸 뿐만 아니라 함께 연기를 하는 사람이 어떻게 보일지, 조명부터 음향, 소품까지 다 체크를 하더라. 제주도 촬영에서는 우편물 각도가 틀어진 적이 있는데 ‘전 컷에서는 45도인데 지금은 더 틀어졌다’고 은빈 선배가 말하는 순간 거기 있던 모든 사람들이 ‘진짜 최고다’ 말을 했을 정도다. 흉내 낸다고 흉내 낼 수도 없을 것 같았다. 언젠가 나도 주연이 됐을 때 언니가 어떻게 했었는지 많이 곱씹으면서 참고하고 배워야겠다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