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정감사도 결국 플랫폼 때리기로 막을 내렸다. 초유의 먹통 사태가 시장 독점 비판으로 이어지며 카카오의 신사업과 투자에 제동이 걸렸다. 당장 내려가는 주가를 방어하기에도 벅찬 상황에서 갈 길이 멀기만 하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은 지난 24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 마지막 발언에서 "카카오가 책임을 다하는 구조로 바뀔 수 있는 중요한 계기로 삼고 앞으로는 서비스의 안정성, 그다음에 문어발 확장이나 어떤 필요치 않은 부분에 대한 투자를 전면 재검토를 해서 조금이나마 잃어버렸던 신뢰를 되찾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국감에서는 유난히 카카오를 향해 많은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계열사가 너무 많고 골목상권을 침해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해 국감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카카오와 네이버를 노골적으로 비교했다.
김 의원은 "카카오는 카톡과 연결된 모든 서비스를 독점하려는 모습에서 플랫폼을 계열사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네이버는 사람을 모으고 유지하는 필수 서비스만 내재화하고 이 외 서비스는 개방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범수 센터장은 "방향성에 대해서는 재검토를 하고 계열사를 줄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계열사 134개 중) 약 80개가 작은 스튜디오 같은 회사라 글로벌 IP(지식재산권)에 필요한 인수를 한 거로 봐달라"고 해명했다.
또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카카오 신규 사업 진출 영역 곳곳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며 "문어발식이라는 표현도 아깝고 거미줄 같다. 50~60년 된 기업에 앞서 대한민국 재산 1위에 오를 정도면 사회적 책임이 커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유망 기업 인수 절차도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의 공개한 자료를 보면 카카오가 2017년 8월부터 이달까지 기업결합을 신고한 62개 회사 가운데 53곳(85.4%)은 간이심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 기업의 M&A(인수합병)가 지배력을 키우는 양상을 면밀히 평가하기 위해 기업결합 판단 기준을 보완하기로 했다. 이종 혼합형 기업결합은 간이심사에서 일반심사로 전환하고, 시장 획정·시장 집중도·경제 분석을 강화할 방침이다.
결국 국내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대신 해외에서 성장 방안을 모색하는 '비욘드 코리아' '비욘드 모바일' 전략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5일 발생한 대규모 장애의 책임을 지고 사임한 남궁훈 카카오 전 대표가 제시한 회사의 미래 10년 키워드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4분기 CPT(시간당 과금) 비즈보드 매출이 추가된다면 본업에서의 경쟁력이 부각될 것"이라며 "오픈채팅 앱과 프로필 SNS화 등 2023년에 선보일 비즈니스 모델도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