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상가 건물 전경. 연합뉴스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빅데이터·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마켓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상업·업무용 빌딩과 상가·사무실을 합한 상업용 부동산 매매액은 2조7000억원으로 작년 동월(7조1000억원) 대비 61.9% 줄었다.
직전 달인 8월(5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51.8% 감소한 것이다.
거래량도 줄었다. 9월 상업용 부동산 매매량은 전체 부동산의 약 6.4%인 4024건으로 작년 동월(6965건) 대비 42.2% 줄었고, 올해 8월(5407건)보다는 25.6%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세종시 거래금액이 가장 크게 쪼그라들었다. 세종시의 올해 9월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금액은 6억원으로 작년 동월 대비 97% 줄었다. 대전시(-85.4%), 부산시(-75.1%), 제주도(-73.0%), 경남(-72.7%) 등도 같은 기간 큰 낙폭을 보였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잇따른 빅스텝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 전반이 침체하면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지속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