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비언스 모델 한지혜. 베비언스 홈페이지 K뷰티 대기업들이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업군을 잇달아 중단하고 있다. 과거에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외연을 확대하는 데 집중했지만, 2~3년 사이 업황이 침체하면서 수익성 없는 사업은 종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이하 LG생건)은 지난 2020년 인수한 로아코리아 법인을 청산한다.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색조 브랜드 '팁시'를 보유한 로아코리아는 LG생건이 다소 부족한 색조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사들였다. 당시만 해도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에 반짝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여파로 화장하는 여성이 급감하면서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로아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6200만원에 그쳤으나 영업손실은 3억6900만원에 달했다. LG생건은 결국 팁시(TPSY) 상표권만 빼고 로아코리아를 청산한다. 아리따움 앱 이미지. LG생건은 지난달에도 영유아 전문 브랜드 '베비언스'의 식품 생산을 올해를 마지막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2년 영유아 식품 시장에 진출한 지 10년 만이다.
다소 의외의 선택이다. 베비언스는 매출 비중 자체는 높지 않지만, 액상 분유인 '베비언스 킨더밀쉬'와 '카브리타 산양분말분유' 등으로 나름대로 인지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LG생건 관계자는 "신생아 수가 점점 줄어드는 등 시장 수요가 많이 위축되면서 영유아 식음료 사업을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며 "베비언스 브랜드의 매출 자체는 그리 크지 않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LG생건은 이번 사업 종료와 함께 베비언스몰도 운영을 종료할 계획이다. 베비언스몰 운영 종료로 적립금과 쿠폰도 소멸할 예정이다. 경쟁사인 아모레퍼시픽(아모레)도 마찬가지다. 아모레는 한때 적극적으로 론칭했던 다양한 앱 운영을 순차적으로 중단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말에는 자사 브랜드를 모두 모은 대표 쇼핑 앱인 '아리따움'을 내년 1월까지만 운영한다고 밝혔다. 아모레는 불필요한 운영비를 줄이기 위해 이용이 많지 않은 앱들을 줄이고 있다. 아모레의 색조 중심 브랜드 '에뛰드'는 지난 7월 21일부로 앱 서비스를 중단했고, 이어 9월에도 포인트 적립 전용인 '뷰티포인트' 앱과 웹사이트를 없앴다. 운영 비용을 줄여 수익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관리 효율성을 고려해 선택과 집중 측면에서 아리따움몰 앱 운영을 종료하기로 했다"며 "앱은 종료되지만 아리따움몰 자체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고 했다. 그만큼 어렵다. LG생건의 지난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전년 대비 11%, 영업이익은 44%나 감소했다. 아모레 역시 올 상반기 누적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 영업이익은 47%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면서 K뷰티 간판 기업도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돈이 될만한 사업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eojy@e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