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영이 12일 GS칼텍스전에서 득점한 후 환호하고 있다. 사진=KOVO KGC인삼공사 정호영(22)의 실력이 쑥쑥 성장하고 있다.
정호영은 지난 12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2022~23 도드람 V리그 여자부 GS칼텍스전에서 블로킹 5개를 포함해 17득점을 기록, 팀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인삼공사 외국인 선수 엘리자벳 이네 바르가가 양 팀 통틀어 가장 많은 29점을 뽑았지만, 승부처에서는 정호영의 활약이 가장 돋보였다.
정호영은 1세트 21-17에서 속공과 블로킹 2개씩을 기록하며 팀의 연속 4득점을 책임졌다. 인삼공사가 1세트를 25-17로 따낸 가운데 이날의 승부처는 2세트였다. 인삼공사는 22-24로 뒤진 상황에서 정호영이 오픈 공격에 이어 상대 모마의 백어택을 가로막아 승부를 듀스로 끌고 갔다. 이어 정호영이 속공 득점을 올려 25-24, 매치 포인트에 도달했다. 이어 이소영이 정호영과 함께 블로킹을 떠 모마의 백어택을 가로막으면서 세트 스코어 2-0을 만들었다. 인삼공사는 세트스코어 3-1로 승리해 4위(승점 41)로 도약, 봄 배구 희망을 이어갔다.
정호영은 1m90㎝의 큰 키를 자랑한다. 선명여고 시절부터 '제2의 김연경'으로 불렸다. 뛰어난 체격에 실력까지 갖춰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2019~20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 지명을 받고 인삼공사에 입단했다. 이후 정호영은 '제2의 김연경'이라는 수식어만큼 성장하지 못해 스스로 많은 부담과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프로 입단 후 포지션도 고민거리였다. 고교 시절 아포짓 스파이커(라이트)로 뛰었지만, 파워와 리시브가 약했다. 프로에서 아포짓 스파이커는 신장과 파워가 뛰어난 외국인 선수가 독차지한다. 때문에 정호영의 포지션을 놓고 아웃사이드 히터(레프트)와 미들 블로커(센터) 중 어느 쪽이 더 좋을지 프로 사령탑 의견은 엇갈렸다.
정호영은 2019~20시즌 데뷔해 레프트로 뛰며 총 20득점에 그쳤다. 미들 블로커로 변신한 2020~21시즌에는 전방 십자인대 파열로 시즌 아웃됐다. 시즌 첫 경기에서 날벼락을 맞았다. 정호영은 2021~22시즌 미들 블로커로 정착하며 총 152득점을 기록했다. 기대만큼 활약을 보여주진 못했다. 사진=KOVO 이번 시즌 정호영은 한층 성장했다. 지난해와 같은 28경기를 소화한 현재 커리어하이인 270득점을 기록했다. 지난 3년간 올린 총득점을 가뿐히 돌파했다. 특히 1월 이후 출전한 11경기 가운데 8경기에서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했다. 1월 25일 흥국생명전에서는 개인 최다인 21점을 뽑았다. 미들 블로커로서 잘 자리 잡는 모양새다.
차세대 국가대표 미들 블로커로 손꼽히는 정호영은 이번 시즌 세트당 블로킹 0.620개로 6위에 올라 있다. 20대 신예 선수 중 가장 돋보인다. 블로킹 1~5위를 점령하고 있는 한수지(GS칼텍스·0.796개)-김수지(IBK기업은행·0.777개)-배유나(0.769개)-정대영(0.729개·이상 한국도로공사)-양효진(현대건설·0.714개) 등 베테랑 미들 블로커 뒤를 잇고 있다. 이 가운데 양효진과 김수지가 대표팀 은퇴를 선언해 세대교체가 절실하다.
정호영은 높이와 스피드를 이용한 공격력도 좋다. 속공 부문 전체 2위에 올라 있다. 그는 레프트에서 센터로 전향한 팀 선배 한송이의 조언을 얻고 있다. 또한 전임 이형택 감독에 이어 고희진 감독까지 미들 블로커 출신 사령탑의 지도를 받고 있다. 그는 "이번 시즌에는 내가 어느 정도 예측하고 블로킹을 만드는 느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