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환 감독에게 영화 ‘멍뭉이’는 한 통의 편지 같다. 우울했던 삶의 시기 자신을 위로해줬던 친구 루니, 레이에게 보내는.
‘멍뭉이’ 개봉을 앞두고 최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김주환 감독과 만났다. ‘사자’ 이후 약 4년 만에 ‘멍뭉이’로 돌아온 김주환 감독은 전작들과 아주 다른 듯하면서도 비슷한 이야기로 관객들을 매료시킬 전망이다.
“전작과 다르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남자 두 명이 자신의 앞에 놓인 문제를 해결해간다는 점에서 비슷해요. 그래서 오히려 저는 ‘내 이야기의 척추는 비슷하구나’ 생각했어요. 외피가 여름옷이냐, 겨울옷이냐의 차이죠.”
‘멍뭉이’에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건 민수(유연석)와 진국(차태현)이다. 사랑하는 연인과 결혼을 준비하던 민수는 그동안 여자 친구가 자신에게 강아지 침 알러지가 있다는 사실을 숨겨왔다는 걸 알게 되고, 어쩔 수 없이 루니의 새 주인 찾기에 나선다. 이 여정에 민수의 사촌 형인 진국이 함께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루니를 비롯한 8마리의 강아지가 등장하는 데다 반려인들이라면 한 번쯤 할 법한 여러 고민들을 다루고 있기에 ‘멍뭉이’는 반려인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하며 볼 만한 영화다. 하지만 김주환 감독은 반려인들만을 위해 영화를 만들지는 않았다. 비반려인도 이해하며 볼 수 있길, 강아지 입양을 고려하는 사람이라면 조금 더 신중할 수 있길 김 감독은 바랐다.
“아마 이 영화를 보는 시선은 다양할 거예요. 강아지를 기른다는 건 쉽지 않고, 시간이 갈수록 더 어려워지는 지점도 있어요. ‘나는 죽어도 개를 다른 집에 안 보내’라고 하는 분도 있고, 그런 반면 직접 낳은 자식을 버리는 사람도 있죠. 다만 강아지를 기르며 마주할 수 있는 수많은 상황들을 생각해 보고, 버려지는 강아지를 한 마리라도 줄일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만들었어요.”
루니와 레이가 떠나기 전까지 김주환 감독 역시 반려인이었다. 영화 ‘청년경찰’(2017)이 세상에 나오기 전, 방에서 ‘청년경찰’의 시나리오를 집필하며 불안함과 우울함을 견뎠던 그 시기 김 감독의 옆엔 루니와 레이가 있었다.
“3~4년 정도 삶이 감옥처럼 느껴지고 우울했던 시기가 있었어요. 방에서 혼자 시나리오를 쓰면서 울기도 했고요. 그러면 한 마리는 겨드랑이 사이에 오고, 한 마리는 다리 사이에 와서 누워요. 움직이지도 못 하게요. 또 어찌나 까탈스러운지, 제가 화장실 가려고 하면 화도 냈고요. (웃음)”
그랬던 강아지 루니의 죽음을 김주환 감독은 보지 못 했다. 아들이 바쁠 것을 고려한 부모의 배려였지만 사랑하는 가족의 마지막 순간을 함께하지 못 한 것에 대한 부채감이 김주환 감독에겐 계속 있었다. 다행히 레이가 떠나는 순간은 함께했다.
“루니랑 레이에게 저 혼자 약속을 했어요. ‘너희의 이름으로 이 세상 개들이 조금 더 나아질 수 있도록 하는 뭔가를 만들겠다’고요. 그게 제가 할 수 있는 몫이라고 생각했어요. 솔직히 죽고 나니까 더 많이 생각이 나네요.”
비반려인도 쉽게 이입하며 볼 수 있게 만들어졌지만 ‘멍뭉이’는 확실히 반려인에겐 ‘눈물 버튼’이 될 수밖에 없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늘 퍼주고 사랑을 줘도 부족하게만 느껴지는 강아지와 반려인의 관계. 강아지를 혼자 두고 일하러 나갔던 일들, 바쁘다고 산책을 미뤘던 일들, 혹은 먼저 세상을 떠난 반려견들이 영화를 보면서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시사회에 앉은 이들이 모두 서로 다른 시점에 눈물과 웃음을 보였다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자신이 반려견과 어떤 시기를 보내고 있는가에 따라, 반려견과 어떤 추억과 기억을 쌓았는가에 따라 영화 ‘멍뭉이’에서 와 닿는 장면은 각기 다를 수밖에 없다.
“영화가 사람에 따라 다른 감정을 끌고 오는 것 같더라고요. 저 역시 예전에 만들었을 때랑 아이 둘이 생기고 나서 봤을 때랑 느낌이 달랐어요. 어떻게 보면 제가 오만했던 것일 수 있겠죠. 보편적인 터널을 만들었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반려견, 가족에 대한 기억은 사람마다 다르고 충만하니까 모두에게 다르게 느껴지게 된 거죠.”
“전에 만들었을 때와 현재, 구체적으로 어떤 점에서 다르게 느껴졌느냐”고 묻자 김 감독은 대번에 ‘속도감’을 이야기했다. 그는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지만 나도 1.25배속, 1.5배속으로 콘텐츠를 볼 때가 많다”면서 “영화를 만든 뒤 2년여 동안 내 눈이 더 빨라진 모양”이라고 털어놨다.
“좋게 말하면 ‘느림의 미학’이고 나쁘게 말하면 그냥 느린 거죠. 그렇다고 관객들에게 ‘어차피 느리니까 천천히 보세요’라고 할 건 아니고요. 다만 영화에 여백이 많다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 여백에서 관객 분들이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떠올려 주실 수 있다면 좋겠어요.”
누군가는 함께 살던 반려견의 새로운 집사를 찾아 나선다는 설정에서 영화 시작도 전부터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 반려견을 진심으로 가족으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집사’라는 것은 성립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김주환 감독은 “이미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 보라고 만든 영화는 아닌 것 같다”고 고백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버려지는 강아지들. 안타까운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유기견들. 관심이 없던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멍뭉이’를 통해 그러한 문제에 눈과 귀를 기울이고 다만 하나의 생명이라도 더 구할 수 있길 바랄 뿐이다.
“가르치려고 드는 영화는 정말 최악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래도 ‘어떤 교훈인가’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영화적 교훈도 부정적 뉘앙스가 있고 긍정적 뉘앙스가 있잖아요. ‘생명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는 우리 사회가 같이 고민할 만한 지점이라고 생각하고, 그런 부분을 ‘멍뭉이’에도 담으려고 노력했어요.”
영화에는 일단 귀여운 강아지들이 잔뜩 나온다. 또 민수와 진국이 새 집사를 찾아 떠나는 과정에서 아름다운 국내의 풍경이 스크린을 수놓는다. 그야말로 시각적 힐링이라 할 수 있다. 김주환 감독은 “마침 영화가 봄에 개봉을 하지 않느냐”며 “봄맞이 소풍을 한다는 마음으로 극장에 와주시면 좋겠다. 극장에서 몰입해서 보셨을 때 나오는 감정을 ‘멍뭉이’를 보면서 한껏 느껴주시면 더 바랄 게 없겠다”고 희망했다.
김주환 감독이 연출하고 유연석, 차태현이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멍뭉이’는 다음 달 1일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