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M엔터테인먼트, 하이브 제공
최근 뜨거운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금융회사들의 개입을 점검하기로 했다. 여기서 문제가 적발되면 엄중히 처리하겠다는 경고도 내놨다. 분쟁 사이에서 수수료 등을 챙기기 위해 불공정거래를 부추기는 금융회사들이 나올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5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하이브의 SM 주식 공개매수 기간 중 발생한 대량매집 행위 등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금감원은 이런 과정에 개입됐거나, 개입하려는 증권회사와 자산운용회사 등 금융회사들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금융회사가 해당 기업의 경영권 분쟁 발생 시 지분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거나 신탁이나 펀드 등을 통해 지분을 숨겨 들어오는 등 다양한 편법으로 자본시장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금감원은 증권회사 등의 시세 조정, 불공정 거래 수탁, 각종 금융 기법을 동원한 직간접 협력 등 전반적인 과정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조사나 검사 등을 통해 문제 되는 금융회사들은 모두 적발해 강력히 처벌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오는 31일 SM의 주주총회 전까지 당사자 간 지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탈법 및 편법 행위에 금융회사들이 연루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분쟁 과정에서 증권회사 등의 창구가 이용될 수밖에 없어, 해당 금융회사들의 위법 가능성을 강력히 경고한 것이다.
앞서 지난 1일에도 금감원은 하이브의 SM 주식 공개매수 기간 중 발생한 대량매집 행위와 관련해 불공정거래 행위 엄단, 경영권 분쟁 당사자의 공정한 경쟁을 촉구한 바 있으며, 투자자들에게도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2일 "위법 확인 시 법과 제도상 할 수 있는 최대한 권한을 사용해 그 책임을 묻겠다"면서 "과열·혼탁해지면서 위법적 수단이나 방법이 동원된다면 불공정거래에 대한 무관용 원칙에 비춰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공개매수 기간이었던 지난달 16일 기타법인 명의의 단일 계좌에서 SM 발행 주식 총수의 2.9%(68만3398주)에 달하는 물량을 매입하는 일이 발생했고, 하이브는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가 있다며 금감원에 조사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