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나란히 베트남을 '미래 연구소'로 지목했다. 단순 생산기지를 넘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키운다. 굳이 한국을 놔두고 베트남을 선택한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LG전자는 베트남에서 운영 중이던 R&D(연구·개발)센터를 공식 법인으로 승격한다고 9일 밝혔다.
LG전자 베트남 R&D법인은 가전과 함께 주력으로 떠오른 전장(자동차 전기장치)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책을 맡았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SW) 개발과 검증을 담당한다. 텔레매틱스(무선통신)·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이 주요 제품이다.
LG전자는 2016년 베트남 생산법인 아래 하노이 전장 R&D센터를 설립하고, 2020년 다낭에 R&D센터 분소를 추가하는 등 전장사업 연구·개발을 지속해왔다.
또 현지 인력을 육성·확보하기 위해 2021년부터 다낭 및 인근 지역 소재 대학교와 우수 인재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입사를 보장하는 산학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올해 하노이 소재 대학교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2200여 명의 연구원이 상주하는 대규모 종합 연구소를 베트남에 세웠다. 글로벌 기업 첫 사례다. 지난해 12월 준공식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직접 챙길 정도로 공을 들였다.
베트남 삼성 R&D센터는 지상 16층·지하 3층 규모다. 모바일 디바이스용 SW의 핵심 기술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와 무선 통신 보안 분야에 특화해 전문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최첨단 연구시설은 물론 피트니스 센터·구내식당·옥상 정원·동호회 공간 등 남부럽지 않은 복지시설을 갖췄다.
베트남은 우수한 인력 자원이 매력이다. 개발자 몸값이 치솟은 우리나라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다.
베트남 구인·구직 사이트인 '톱데브'의 2020년 동향에 따르면 현지에서 매년 5만여 명의 IT 관련 전공자들이 배출됐다. 하지만 신규 인력 수요는 매년 약 50% 증가하다 2019년에 6만3000여 명에 달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했다.
이런 상황과 겹쳐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 덕에 중국과 인도를 위협하는 상위 5대 IT 아웃소싱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도 잇따르고 있다. 아직은 제조 및 가공부문이 주를 이룬다.
LG디스플레이(15억 달러)와 삼성(9억2000만 달러) 등 국내 기업은 물론 애플 제품을 위탁 생산하는 대만 폭스콘(3억 달러)과 덴마크 레고(13억2000만 달러) 등이 지난해 주요 FDI(외국인직접투자)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도 디지털화·도시화가 진행 중인 베트남은 주요국과 달리 꾸준한 경제 성장을 보여주고 있어 곧장 소비시장을 공략하기에도 용이하다.
제조업 회복 및 수출 증가로 2022년 경제 성장률은 8.02%를 기록했다. 올해도 6%대의 경제 성장이 기대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베트남 정부도 본격적으로 디지털 경제 육성에 나서면서 관련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베트남 디지털 전환의 한계점과 잠재적 위험에 대한 경계도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