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본사. 샌프란시스코 연합뉴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등으로 금융시장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SVB 사태 발생 후 금융권 리스크를 점검해보니 인터넷은행의 경우 1인당 평균 예금액은 200만원대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 현 예금자보호한도는 5000만원인 데다 인터넷은행의 경우 자금조달이 소액 또는 소매자금으로 이뤄져 단기간 내 자금 이탈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SVB가 자금 위기에 직면한 지 36시간 만에 파산한 이유는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은행 거래를 하면서 예금 인출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일명 '스마트폰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으로, 이 문제에 있어 비대면 거래가 100%인 국내 인터넷은행에 대한 우려가 나왔지만 안전하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금융권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는 저축은행과 카드회사, 캐피탈 또한 여신 위주의 자금을 운용하고 최근 자금 조달 여건이 호전되면서 유동성이 안정적인 상황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유동성 비율은 177.1%며 카드회사는 358.4%, 캐피탈은 202.3%다.
증권회사의 경우도 유동성 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양호한 상황이다.
국내 은행은 예대 업무가 위주로, 유가증권 비중이 총자산의 18%에 불과하며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모든 은행이 100%를 넘어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은행의 외화 LCR도 지난 10일 기준 143.7%로, SVB 사태로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지더라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것으로 금감원은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