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대 무역 흑자국이었던 중국이 최대 적자국으로 위상이 추락했다. 올해 31년 만에 연간 대중 무역 적자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한국의 대중 무역 수지는 39억3300만 달러(약 5조1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1~2월 누적 적자도 50억7400만 달러로 호주(48억2000만 달러)와 사우디아라비아(46억7000만 달러), 일본(35억3000만 달러), 독일(26억5000만 달러)을 제치고 1위로 집계됐다.
3월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이달 1∼20일 대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2% 줄었지만, 수입은 9.1% 늘었다.
월간·연간 기준으로 중국이 한국의 최대 무역 적자국에 이름을 올린 사례는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다.
과거의 입지가 무색하다.
중국은 2018년 한국의 무역 흑자국 1위(556억3600만 달러)에서 2019년 2위(289억7400만 달러), 2020년(236억8000만 달러)과 2021년(242억8500만 달러) 3위로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다 지난해(12억1300만 달러) 22위로 밀려났다.
대중 무역 수지가 20위 밖으로 밀려난 것은 흑자를 기록한 해 중 작년이 처음이다. 연간 기준 대중 무역 적자를 나타낸 것은 1992년이 마지막이다.
지난해 대중 수출이 쪼그라든 것은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한 현지의 봉쇄 정책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한 탓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의 여파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급증했다.
이후 중국의 일상 회복 움직임에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이 피어올랐지만 무역 수지 적자가 고착화하는 분위기다.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20일까지 한국의 전체 수출액 가운데 중국의 비중은 19.8%다. 2018년 26.8%에 달했다가 2021년 25.3%, 2022년 22.8%로 점점 줄더니 올해 들어서는 10%대에 진입했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중국에서 수입이 느는 분야로 수출 품목을 전환하고, 기존 한중 간 상호 보완적 교역을 수평적 윈윈 관계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