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공시한 '수탁자 책임 활동 내역 등과 관련한 통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지난해 주식을 보유한 국내 기업 1143개의 주총(825회)에서 총 3439개의 안건에 의결권을 행사했다. 이중 찬성 의결권을 행사한 안건은 2625건(76.33%), 반대는 803건(23.35%), 중립 또는 기권은 11건(0.32%)이었다.
반대 의결권 행사 비율은 2021년의 16.25%에서 7.1% 늘어났다. 반대 의결권을 행사한 안건 중 342건(42.6%)이 '이사 및 감사 보수' 안건이었다. 주로 사내이사와 미등기이사인 오너가들의 보수도 중요 대상인 셈이다. 국민연금은 보수 금액이 경영성과에 비춰 과다한 경우 등엔 반대한다는 의결권 행사 지침을 갖고 있다.
대기업 오너가의 보수는 전년도 사업보고서가 공개되는 3월이면 항상 화제가 된다. 롯데지주 등 5개 계열사의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189억8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신 회장은 지난 3월 롯데칠성음료 사내이사로 3년 만에 복귀했다. 신 회장의 가세로 롯데칠성음료는 이사 보수한도를 30억원에서 55억원으로 증액했다.
이와 같은 이사 보수한도 상향은 앞으로 국민연금의 레이더망에 걸릴 전망이다. 한국타이어의 오너가도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조현범 회장 등이 포함된 이사 보수한도를 50억원에서 70억원으로 확대하는 안건을 통과시켜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았다. 조현범 회장이 횡령 및 배임, 공정거래법 위반 등의 혐의로 지난달 구속기소됐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네이버는 이사진 7명의 보수한도를 150억원에서 80억원으로 축소해 대조를 이뤘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에 대해 “지난 10년간 보수 한도가 실지급률 대비 다소 높게 설정돼 있었다. 올해는 경영진을 비롯한 임원 계약 금액이 삭감된 부분도 고려됐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은 한때 ‘거수기’라는 오명을 썼지만 최근 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를 강화하는 흐름에서 반대율이 높아지고 있다. 2010년 전후 국민연금의 주총 안건 반대율은 10% 미만이었다. 그러다 지난해에는 반대율이 23% 수준까지 올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