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식을 마친 뒤 숙소에 돌아가는 길. 전주하면 ‘가맥’이지만 가맥집을 부러 찾아갈 기력이 없어 숙소 근처를 둘러보는데 문을 연 식당이 없었다. 영화제 주요 행사들이 집중된 영화의 거리에서 5km 정도 떨어진 지점이라 그러려나. 편의점에서 맥주 한 캔을 사서 터벅터벅 방으로 들어왔다.
“어제 저녁을 먹고 2차 가려고 하는데 문을 연 곳이 별로 없더라고요. 술집 찾느라 혼났어요.”
다음 날 공식행사를 소화하다 만난 한 게스트가 이 같이 말했다. 이 게스트가 묵은 호텔은 영화제 측에서 잡아준 공식 숙소로 영화의 거리 인근. 이곳도 사정은 비슷했구나 싶었다. 약 3년간 이어진 코로나19. 비로소 그 어두운 터널을 다 지나왔나 싶었는데 여전히 그 시국이 남긴 흔적이 거리 곳곳에 새겨져 있는 것 같았다.
점심을 먹으러 들어간 식당에서 주인에게 “영화제 효과를 좀 실감하느냐”고 물었다. 답은 “아니오”였다. “알고 찾아오는 손님이 있어야 실감을 할텐데 그냥 오며가며 간혹 들르는 사람이 있는 정도”라는 말이 이어졌다.
가게 주인은 코로나19가 터지기 직전 가게 문을 열었다고 했다. “불과 한 달여 전이었다. 이런 일 생길 줄 알았겠느냐”며 주인은 웃었다. “그 긴 시간 어떻게 견뎠느냐”고 묻자 “아등바등이었다.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니까. 그래도 이 근처는 직장인촌이라 사무실 근무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조금 숨통이 트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른 곳도 사정은 비슷했다. 영화의 거리에서 조금만 걸으면 한국전통문화전당이 나온다. 그 덕에 이 일대는 영화제는 물론 각종 문화 축제와 음악제 등으로 1년 내내 분주했다. 행사가 열릴 때면 다른 구나 지역에서 손님들이 찾아왔고, 골목은 북적였다. 코로나19는 그 모든 것을 앗아갔다.
한 한옥스테이 인근의 카페. 안으로 들어섰을 때는 가게 안의 모든 테이블이 비어 있는 상태였다. 그 가운데 한 곳에 앉아 있던 주인이 일어나 기자를 맞았다. 영화제 효과를 실감하느냐는 같은 질문에 주인은 “드라마틱하진 않지만 전년보다는 조금 영화제 기간이 길어진 것 같다는 생각은 든다”고 답했다.
저녁 무렵. 영화제에 참석한 한 게스트를 인터뷰 하기 위해 그가 묵는 숙소로 갔을 때다. “근처 커피숍으로 자리를 옮겨서 인터뷰 하겠느냐”는 제안에 그러마고 했는데, 정작 들어갈 곳이 없었다. 그나마 오후 9시~9시 30분까지 운영하는 밥집이나 술집과 달리 카페는 일찍 문을 닫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결국 인터뷰는 그의 방 안에서 진행됐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는 영화의 거리에서만 열리던 행사 공간을 전주시 전역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골목상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주 곳곳에서 진행된다. ‘전주국제영화제’는 시민의 혈세가 사용되는 시민의 영화제다. 영화의 거리에서 자리를 넓힌 ‘전주국제영화제’가 코로나19 이후 얼어붙은 전주시의 골목 상권의 부활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