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호 전주국제영화제(JIFF)공동 집행위원장에겐 남다른 사명이 있다. 바로 ‘전주국제영화제’를 세계 게스트들도 앞다퉈 참가하는 유명한 영화제로 만드는 것. 공동 집행위원장으로 임명된 이후 영화계 안팎에서 우려의 시선을 받았던 만큼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 자신이 해야할 몫은 다 해내고야 말겠다는 게 정 집행위원장의 각오다.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 이틀째인 지난달 28일 전주시 완산구의 한 호텔 카페에서 정준호 집행위원장을 인터뷰했다. 정 집행위원장은 조덕현 작가가 마련한 안성기 전시회를 방문하고 익산에서 막 오는 길이었다. “오는 길에 차가 좀 막혀서 늦었다”는 그에게 “괜찮다”며 자리를 안내한 뒤 숨을 고르고 인사를 나눴다. 전날 늦게까지 개막식 행사를 치른 뒤라 밝은 얼굴에도 피곤한 기색이 엿보이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제가 집행위원장이 됐을 때 여러 의견이 있었던 걸 알고 있고 그게 어떤 뜻인지 충분히 이해해요. ‘전주국제영화제’는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시도를 하는 독립영화의 산실인데 저는 그동안 주로 상업영화를 해왔으니까요. 그런데 우리 영화제의 슬로건이 이번에 ‘우린 늘 선을 넘지’잖아요. 저도 나름대로 선을 넘어보려는 거죠. 제가 가진 장점을 활용해서요.”
실제 정준호는 집행위원장이 되며 기업인 40여 명이 중심이 된 전주영화제 후원회를 발족했고, 대한항공 스폰서를 연결해 미주와 유럽 쪽 게스트들이 전주를 찾을 수 있도록 했다. 대한항공에는 대신 ‘전주영화제’가 가진 작품의 저작권을 풀어 기내에서 상영할 수 있도록 했다. 영화제와 항공사의 윈윈 전략인 셈이다. 정준호는 “‘전주국제영화제’는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영화제다. 영화제가 자금난으로 위축되면 세금을 낸 시민들에게 제대로 보답할 수 없다. 영화제의 외연을 확장하고 시민들과 연결하는 일을 내 사명으로 생각한다”고 힘줘 말했다.
“4~5개월 영화제를 준비하면서 느낀 점이 ‘전주국제영화제’는 정말 마니아층이 탄탄하다는 것, 대신 조금 비마니아층에게는 덜 알려져 있다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대안영화, 독립영화를 주목한다는 영화제의 정통성은 유지를 하면서 거기에 대중성을 접목하면 어떨까 한 거죠. 실제로 전주에 와서 식당을 돌아다녀 보면 ‘전주국제영화제’에 대해 잘 모르거나 그 효과를 체감하지 못 하고 있는 상인 분들이 많았어요. 저는 시민들에게 더 다가가는 영화제를 만들고 싶어요.”
국내·외 정상급 스타들이 다수 참석하는 ‘부산국제영화제’와 달리 ‘전주국제영화제’는 보다 예술로서의 영화에 집중해왔다. 그 덕에 영화를 사랑하는 팬들과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명망이 높지만 일반 대중에게까지는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게 사실. ‘두사부일체’(2001) ‘가문의 영광’(2002), ‘공공의 적’(2002) 등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에 출연한 정준호가 공동집행위원장이 된 뒤 그 무엇보다 영화제 홍보에 열을 올리는 건 이 때문이리라.
물론 그 선에 대해선 정준호 집행위원장도 여전히 고민이다. 영화제를 널리 알리는 것 자체가 영화제의 정통성을 훼손하지는 않지만, 너무 대중을 향한 홍보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자칫 영화제가 중구난방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진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정준호 집행위원장은 “최우선 과제는 전주시의 지역 경제를 살리는 것, 그리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활동하는 영화인들에게도 ‘전주국제영화제’의 위상을 알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주국제영화제’는 그동안 정말 많은 작품과 영화인들을 발굴해왔어요. 제 의견은 이제 발굴에만 그치지 말자는 겁니다. 그렇게 발굴한 작품들을 배급하고, 마케팅에도 힘을 쏟아서 대중 앞에 끄집어내주는 거예요. 농사를 지었으면 그걸 다른 사람들도 맛볼 수 있게 해야죠.”
정준호 집행위원장은 이를 전주의 대표 먹거리인 비빔밥에 빗대었다. 비빔밥은 여러 채소가 모이는 일종의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데 정준호 집행위원장이 바라보는 영화제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세계 곳곳의 좋은 영화와 영화인들이 모여 자신의 작품을 서로 소개하고 나누는 것. 마치 장터 같은 풍경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펼쳐지길 바란다고 했다.
물론 근간은 콘텐츠에 있다.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쓸고, 전 세계가 K팝에 맞춰 몸을 흔드는 지금이 바로 기회다. 모두가 한국에 집중할 때, 전통적인 한국의 문화를 갖춘 전주가 치고 나가야 한다. 백년대계, 나아가 천년대계를 보고 독립영화에 투자해 한국 영화계를 빛낼 새로운 얼굴을 발굴해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전주국제영화제’에 훌륭한 작품들이 정말 많아요. 꼭 보러 오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진짜 여기 아니면 못 볼 파격적인 작품들이 영화인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거든요. 와서 티케팅도 해보시고, 맛있는 것도 즐기시고, 그러시다 보면 ‘전주국제영화제’와 사랑에 빠지게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