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경기 침체 파고에도 끄떡 없이 고공행진하면서 조주완 대표의 조용하지만 강한 리더십이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인 불황으로 경쟁사 삼성전자가 휘청거리는 사이 실적 신기록을 쓰는 것은 물론 미래 먹거리도 빛을 보기 시작했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해 매출 100조원을 찍겠다는 담대한 포부를 밝혔다. '가전 명가'의 틀에서 벗어나 집부터 상업 공간, 자동차, 가상세계까지 고객이 있는 모든 곳에 손을 뻗는다.
조주완 LG전자 대표는 1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미래 비전 발표회에서 "2030년까지 50조원을 투자하고, 연평균 성장률 및 영업이익률 7% 이상, 기업 가치 7배 이상이라는 '트리플 7'을 달성하는 매출 100조원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했다.
이날은 조 대표가 부임한 지 551일째 되는 날이다. 그는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에 1987년 입사한 '원 클럽맨'이다. 캐나다와 미국 등 북미 지역 법인장을 지내며 글로벌 역량을 쌓았고, CSO(최고전략책임자)를 맡아 회사의 사업 방향을 설정하기도 했다.
이처럼 해외시장의 중요성을 익히 체감한 조 대표는 운전대를 잡은 뒤 곧장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생산기지를 비롯해 최대 시장으로 떠오른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 등 23개국을 신발이 닳도록 뛰어다녔다. 지구 8바퀴 반에 달하는 거리다.
조주완 대표는 전임 권봉석 LG 부회장보다 눈에 띄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권 부회장은 LG전자 사령탑에 오르기 전 회사의 핵심인 MC(모바일)사업본부와 HE(홈엔터)사업본부를 이끌며 스마트폰과 OLED(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 TV 등 고객 친화적인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얼굴을 비추며 이름을 알린 바 있다.
라이벌 삼성전자에서 가전·TV·스마트폰 사업을 총괄하는 한종희 DX(디바이스 경험)부문장의 직함이 부회장이라 사장인 조 대표의 무게감이 다소 떨어진다는 인식도 있었다.
조 대표는 이에 아랑곳 않고 가전·TV의 프리미엄 이미지 강화와 전장(자동차 전기·전자장치) 사업 확대 등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올 상반기 매출은 2년 연속으로 40조원을 돌파했으며, 영업이익은 3년 연속 2조원을 넘어섰다. 역대 상반기 기준 매출은 2번째, 영업이익은 3번째로 높았다.
특히 신성장 동력인 전장은 경쟁력 지표인 수주 잔고가 연말 100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 매출은 올해 말 10조원, 7년 뒤에는 20조원 이상으로 가전과 동등한 입지를 다질 전망이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는 주력인 반도체의 수요 급감과 가전 사업 부진으로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6000억원에 그치며 2009년 금융 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조주완 대표는 기세를 몰아 글로벌 톱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가전과 TV를 생산하는 것을 뛰어넘어 플랫폼까지 제공하는 무형(Non-HW) 사업과 B2B(기업 간 거래), 신사업을 3대 축으로 제시했다.
무형 사업의 경우 TV를 예로 들었다. 29개국 4800만명 이상이 시청하는 무료 방송 'LG 채널'은 콘텐츠·서비스·광고 영역을 더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설계한다. LG TV는 플랫폼을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B2B에서 전장 사업은 미래 모빌리티 영토를 꾸준히 개척해 2030년까지 2배 이상의 매출 증대를 노린다. 가전 사업은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HVAC)와 빌트인의 북미·유럽 공략을 가속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전기차 충전소·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등 신사업 투자도 적극 검토한다.
조 대표는 세계 가전 1위와 올레드 TV 선도 목표를 밝히고 VS(전장)사업본부를 출범했던 지난 2013년 회상하며 "불가능해 보이기까지 했지만 그 약속을 지켜냈다"며 "오늘을 되돌아봤을 때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반드시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