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잡한 교통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교통신호 최적화 솔루션 '티플로'를 화성시 정체구간에 적용해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티플로는 위치 기반 이동통신 데이터를 분석해 추출한 교차로의 방향별 교통량 정보로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최적의 신호체계를 제공한다.
SK텔레콤은 경기도 화성시·화성동탄경찰서·화성서부경찰서·도로교통공단 등과 협력해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상습 정체구간인 교차로 15곳 구간에 신호체계 개선안을 만들어 효과를 시험했다.
적용 도로는 화성시 삼천병마로 자안입구 삼거리에서 해광금속 사거리까지 약 5.4㎞ 구간으로 일평균 교통량이 5만3000대가 넘는 상습 정체지역이다.
SK텔레콤은 AI 기술로 시간대별 교통량 패턴을 파악해 최적의 교통신호 주기를 산출했다. 통행시간을 적용 전 11분30초에서 적용 후 9분50초로 약 1분40초(13%) 단축했다.
이는 연간 12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52t의 탄소 배출을 절감하는 효과다. 향후 화성시 전역에 반영할 경우 연간 약 520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약 2200t의 탄소 배출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신용식 SK텔레콤 커넥티비티 CO장은 "앞선 ICT 기술을 적극 활용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도시 교통 문제 해결에 앞장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