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광모 회장이 지난 22일 캐나다 토론토 자나두 연구소에서 크리스티안 위드브룩 자나두 CEO와 함께 양자컴퓨팅 관련 실험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LG 제공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래 먹거리’에 방점을 찍는 활발한 국내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번에는 미국과 캐나다를 방문해 바이오와 인공지능(AI) 등 그룹의 전략적인 미래 사업을 점검했다.
27일 LG에 따르면 구 회장은 지난 21일부터 나흘간 LG화학 생명과학본부의 보스턴 법인(이노베이션센터)과 LG화학이 올해 인수 완료한 미국 제약사 아베오, LG전자의 토론토 AI 랩(Lab) 등을 방문했다.
구 회장은 보스턴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신약사업 방향과 글로벌 상업화 역량 강화 방안을 점검하고 아베오의 육성 전략 등을 논의했다.
그는 "그룹의 성장사를 돌이켜보면 LG는 늘 10년, 20년을 미리 준비해 새로운 산업을 주도해 왔다"며 "지금 LG의 주력사업 중 하나인 배터리 사업도 30년이 넘는 기술 개발과 투자가 뒷받침되고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끊임없는 실행을 이어간 도전의 역사"라고 말했다.
LG는 지난 2017년 그동안 계열사로 따로 분리됐던 LG생명과학을 14년 만에 다시 LG화학에 흡수하며 바이오 사업에 다시 힘을 주기 시작했다. 구 회장의 전폭적인 지지를 등에 업은 LG화학은 7000억원을 들여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항암제 치료제를 보유한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특히 연구개발(R&D) 비용을 3000억원 이상으로 대폭 늘리면서 글로벌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은 2030년까지 글로벌 혁신 신약 2개 이상 확보와 매출 1조원 달성을 겨냥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이런 투자를 바탕으로 "LG의 바이오 사업이 지금은 비록 작은 씨앗이지만 꺾임 없이 노력하고 도전해 나간다면 LG를 대표하는 미래 거목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다.
LG화학 생명과학본부는 2019년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불리는 보스턴에 법인을 설립했다. 아베오를 활용해 글로벌 혁신신약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 회장은 22일에는 AI 연구에 특화된 캐나다 토론토로 이동, AI 분야 미래 준비를 이어갔다. LG전자는 지난 2018년 LG그룹 최초의 글로벌 AI 연구 거점인 'AI 랩'을 토론토에 설립한 바 있다. 현재 AI 랩은 토론토대와 산학 협력 과제를 수행하며 LG전자 내 AI 분야의 선행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구 회장은 "AI는 향후 모든 산업에 혁신을 촉발하고, 이를 어떻게 준비하는가에 따라 사업 구도에 커다란 파급력을 미칠 미래 게임체인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I 관련 기술의 진화 속도가 매우 빠르고 경쟁도 더 치열해지고 있다"며 "지금까지 확보한 기술이 계열사 비즈니스 현장에서 실질적 사업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빠르게 적용하며 이를 통한 레슨런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여가자"고 당부했다.
LG 관계자는 구 회장의 최근 행보와 관련해 "AI, 바이오 등의 미래 사업을 글로벌 톱 수준으로 육성해 미래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행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