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KBO리그 LG 트윈스와 KT 위즈의 경기가 7일 오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 LG 박동원이 8회 중월 1점 홈런을 날리고 염경엽 감독과 기뻐하고 있다. 수원=정시종 기자
염경엽(55) LG 트윈스 감독이 화두를 하나 던졌다.
염경엽 감독은 17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SSG 랜더스와의 홈 경기에 앞서 흥미로운 얘길 하나 꺼냈다. 염 감독은 "우리는 경기 수를 줄여야 한다. (팀별로) 한 경기씩 줄이면 딱 맞다"며 "경기를 많이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경기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현행 KBO리그는 144경기(팀 간 16경기)씩 치른다. 9구단 NC 다이노스가 1군에 진입한 2013년부터 133경기(총 532경기)에서 128경기(총 576경기)로 일정이 줄기도 했지만 10구단 KT 위즈가 1군에 입성한 2015년부터 144경기(총 720경기)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장에선 매년 "일정이 너무 빡빡하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과거 김태형 전 두산 베어스 감독도 "144경기가 너무 많다. (이렇게 많은 경기를 소화하는 건) 프로야구 발전을 떨어뜨리는 것"이라며 "120경기 정도가 적당한 것 같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일본 프로야구(NPB)는 매년 143경기씩 소화한다. KBO리그와 비교하면 1경기 적은데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 각 6개씩 총 12개 구단으로 리그가 운영된다. 염경엽 감독은 "일본은 우리보다 팀이 많다. (구단 수를 고려했을 때) 경기 수는 훨씬 적은 거"라고 했다.
뎁스(선수층)에서도 차이가 크다. NPB는 외국인 선수 보유가 무제한이고 육성 시스템까지 잘 갖춰져 있다. 선수단 운영 폭이 넓지만, KBO리그는 제한적이다. 퓨처스(2군)리그 환경이 열악하고 선수 수급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국내 선수층이 얇은 상황에서 경기 수가 많다 보니 질적 하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염경엽 감독은 "우리나라 선수층이나 기후를 보면 (1군은) 126경기를 하는 게 가장 적합하다. 그래야 경기 질도 올라갈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첫 번째가 숫자(경기 수)가 아니라 경기 질 아닌가. 그래야 (경기를 일찍 포기해) 수건 던지는 경기도 줄게 된다"고 강조했다.
시즌 일정을 줄이는 건 가능할까. 한 야구 관계자는 "현장에선 경기 수를 줄여달라고 하지만 구단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수익 구조가 뻔하기 때문에 경기 수를 줄이면 타격이 크다"며 "광고나 중계권 가격도 결국 경기 수가 기반이다. (현재 구조에선) 새로운 수익원 창출이 어렵다는 점에서 (경기 수를 줄이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프로야구단은 모기업 의존도가 높다. 만성 적자에 시달려 자생력이 떨어진다. 야구단 운영에 매년 수십억 원씩 적자를 보는데 수익과 직결되는 경기 수를 줄이겠다는 건 모험에 가깝다. 또 다른 구단 관계자는 "구단을 운영하는 비용이 이전보다 더 커졌다. 중계권도 단순히 방송사에서 받는 돈이 아니라 거기서 파생되는 부분이 작지 않다"며 "전광판이나 펜스 광고도 홈 경기 72경기에서 노출된다는 전제로 팔았는데 경기 수가 줄면 선수단 연봉을 비롯해 조정해야 하는 부분이 꽤 많다"고 실무적인 어려움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