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위원회의 ‘2022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역대 최다인 41개 사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최우수 등급에 중견기업 3곳이 이름을 올렸지만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동반성장 등급 편차는 여전히 컸다.
동반성장위원회는 18일 제 76차 동반성장위원회를 개최하고, 대기업ㆍ중견기업 214개사에 대한 ‘2022년 동반성장 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동반성장지수 평가 공표대상은 214개 사다. 우수 기업이 62개 사, 양호 기업은 73개 사, 보통은 23개 사, 평가에 참여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참여한 미흡 기업은 9개 사, 공표 유예기업은 6개 사였다.
최우수 등급 기업에는 기아, 네이버, 롯데정보통신, 삼성SDI, 삼성SDS,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건설부문), 이노션, 포스코 등이 이름을 올렸다. 중견기업에선 농심, 대상, 파리크라상이 포함됐다. LG디스플레이와 SK하이닉스의 경우 당초 우수 등급을 받았으나, ‘최우수 명예기업’ 인센티브를 적용받아 최우수 등급으로 공표됐다.
2011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시작 이후 3개년 이상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최우수 명예기업은 전년(25개 사) 대비 3개 사 증가한 28개 사였다. 이들 기업은 공정위의 직권조사 면제, 중소벤처기업부의 수·위탁거래 실태조사 면제, 조달청의 공공입찰 참가자격사전심사(PQ) 가점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이번 평가에서 대ㆍ중견기업의 등급별 분포는 큰 편차를 보였다. 대기업은 최우수와 우수 등급 비중이 높은 반면 중견기업은 양호와 보통, 미흡 등급에 쏠렸다. 실제 최우수 등급에서 대기업은 38개 사인 반면 중견기업은 3개 사에 그쳤고, 우수 등급에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각각 40개 사, 2개 사가 포함됐다. 양호 등급에선 각각 24개 사 39개사, 보통 등급은 각각 6개 사, 17개 사였다. 미흡 등급 9개 사는 모두 중견기업이다.
동반지수 평가 과정에서 중견기업에 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차등을 두고 있는 데도 여전히 많은 중견기업들이 대기업 대비 하위 등급을 받았다.
오영교 동반위 위원장은 “중견기업이 적극적으로 상생 활동을 할 수 있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