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댄서이자 안무가인 YGX 크루의 쌍둥이 도니·드기, 바로 ‘권트윈스’가 K안무를 대하는 자세다. K팝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데에는 K안무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다. 그만큼 권트윈스가 어깨에 짊어진 무게도 이전보다 무거워졌다. 그래서 권트윈스는 더욱 멋드러지고 완성도 높은 춤을 추기 위해 노력 중이다.
1969년 창간해 올해로 54주년을 맞은 일간스포츠는 K댄스의 주역, 권트윈스를 만나 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권트윈스는 한 없이 힙한, 세련된, 멋짐이 폭발하는 두 사람이었다. 가수 뒤에서 춤만 추는 댄서라고 보기엔 아까울 정도의 비주얼이다. 이는 권트윈스를 비롯한 현재 댄서들의 존재감과 위상이 이전보다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알게 했다.
쌍둥이 형 드기와 동생 도니는 지난해 8월 방송된 Mnet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스트릿 맨 파이터’(이하 ‘스맨파’)에 출연해 관심을 끌었다. 방송은 두 사람뿐만 아니라 실력있는 댄서들이 주목받는 계기가 됐고 이들의 매력과 가치를 부각시켰다. 드기는 “스맨파, ‘스우파’ 등 댄서들이 조명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 같아 좋다. 춤 장르도 다양한데 그런 점들을 앞으로도 더 보여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방송 이후 댄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게 사실이고 우리를 대하는 주변 관계자들의 시선과 대우도 조금은 변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과거엔 한 가수의 안무 시안을 의뢰받으면 댄서가 안무 구성부터 영상 편집, 그리고 아티스트와의 직접적인 컨택까지 홀로 다 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은 중간 역할자로 소속사 관계자가 함께 해 댄서들이 온전히 안무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게끔 한다.
수많은 댄서 중 권트윈스가 이름을 날릴 수 있었던 데에는 끊임없는 노력이 존재했다. 드기는 “아침부터 오후까지 스케줄이 차 있다. 춤 연습은 매일 하고 있고 행사나 개인 스케줄로 하루 하루 바쁘게 보내고 있다”면서 “매 연습 순간에도 최선을 다한다. 노래하는 가수뿐만 아니라 우리(댄서)도 우리만의 자리에서 빛나는 사람이 돼야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권트윈스는 고등학생 시절 춤을 시작해 어느덧 30대 중반이 됐다. 도니는 “댄서들의 입지를 더욱 넓히기 위해 오래 전부터 노력했던 것 같다. 무대 위 노래하는 아티스트만 주목받는 게 현실이기 때문에 그 안에서 댄서로서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 꾸준히 고민해왔다”며 “댄서라는 직업이 더 당당하고 전문적인 직군이 되길 바랐다. 근 몇 년간 K댄스에 대한 주목도가 급상승했고 댄서들의 입지도 함께 올라간 게 사실”이라고 내다봤다. K팝의 성장에 K안무의 비중이 상당하다는 증거다.
최근 들어 K팝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데에 있어 ‘댄스 챌린지’를 빼놓을 수 없다. SNS 내 댄스 챌린지가 흥행의 중심이 됐고 K팝의 흥행으로도 이어진다. 도니는 “회사에서도 아티스트 신곡에 대한 댄스 챌린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사람들이 따라하기 쉽고 중독성 강한 안무를 만들어달라고 요청이 오곤 한다”며 “안무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음을 많이 느낀다. 그만큼 우리의 책임감도 높아졌고 더욱 치밀하게 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인터뷰를 진행한 YGX 건물은 댄스를 배우러 온 사람들로 붐볐다. K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걸 몸소 느끼는 순간이었다. 드기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K댄스를 배우러 많이들 오신다. 이전보다 확연히 늘어난 수강생들을 보면 K팝과 더불어 K댄스도 더 글로벌해 졌다는 걸 실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부터 무대에 오르는 게 즐거웠던 두 사람에게 댄스는 가장 희열을 주는 일이었다. 어느덧 댄스는 직업이 됐고 업계에서 주목받게 됐다. 도니는 “K안무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아질수록 더욱 부담을 느끼고 작업에 몰두한다. 그 안에서 결코 잃어서는 안될 것 하나, ‘멋’이다. 앞으로도 더욱 K팝을 빛내기 위해 더 멋진 안무를 선보일 것”이라고 다짐했다.
권트윈스는 일간스포츠의 창간 54주년에 축하를 전했다. 두 사람은 “평소 뉴스를 잘 보지 않지만 일간스포츠만큼은 알고 있는 연예 스포츠 전문지다. 그만큼 지금까지 정보력 있는 소식들을 전해줬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우리 댄서들과 같이 업계 이면을 잘 들여다 봐주셨으면 좋겠다”며 “60주년, 70주년, 80주년에도 인터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취재의 다양성을 지켜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