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긴긴 기다림 끝에 마침내 초특급 액션이 터졌다. 17회에 걸쳐 열심히 쌓아온 서사가 마지막 3회에 폭발하며 시청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20일 디즈니+ 시리즈 ‘무빙’ 18, 19, 20회가 공개했다. 지난달 9일 1회부터 6회까지를 동시 공개한 뒤 매주 수요일 한 편씩 공개하다가 지난 20일 마지막 3회를 동시 공개해 대장정의 막을 내린 것. 공개 이후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없는 장면이 없었다”, “이게 진짜 해피엔딩”, “다음 시즌 나오면 좋겠다” 등 호평이 쏟아졌다.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의미 없는 장면이 없었다”는 평은 특히 의미 깊다. ‘무빙’은 OTT시리즈로 꽤 긴 20부작이다. OTT 시리즈가 시즌별 6~8회가 일반적인 점을 고려하면 ‘무빙’의 호흡은 특히 길었다.
때문에 ‘무빙’이 한 편, 한 편 공개될 때마다 “등장인물 전사 소개가 너무 긴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던 게 사실. 이에 강풀 작가는 인터뷰와 여러 ‘무빙’ 행사를 통해 “서사를 잘 쌓아야 터지는 부분이 있으리라 생각한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18회부터 20회까지 이어진 한국과 북한 초능력자들의 대결 장면은 강풀 작가의 자신감에 근거가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액션을 주장르로 한 작품은 얼마든지 많다. 한국 VFX 기술력이 이제는 세계적인 수준이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초능력자나 슈퍼히어로가 등장하는 장면은 할리우드 작품을 더 선호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무빙’이 전 세계를 사로잡은 건 초능력자들의 액션 뿐 아니라 서사에 공감이 컸기 때문이다.
강풀 작가를 비롯해 많은 이들이 ‘무빙’을 ‘한국형 히어로물’이라 했지만, 그보다 ‘무빙’은 ‘휴머니즘을 가미한 히어로물’로 명명되는 게 더 적합할 듯하다. 모든 인물들이 저마다의 사정을 가지고 있고, 이들이 초능력을 제외하면 소시민과 다를 바 없는 삶을 살고 있다는 것. 그것이야말로 ‘무빙’이 전 세계 수많은 시청자들을 홀린 힘이었다.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사진=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각각의 초능력자들이 어쩌다 안기부(현 국정원)와 인연을 맺게 됐고, 그 안에서 어떤 인간적 고뇌를 겪었으며, 그래서 지금 지키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앞서서 잘 풀어둔 덕에 후반부의 액션에선 주먹질 하나에서도 감정이 느껴졌다. 이것은 지금까지 초능력을 다룬 다른 작품들에서 쉽게 느낄 수 없었던 ‘무빙’만의 힘이었다.
‘무빙’을 아직 보지 못 본 이들에게 팁 하나. 20회가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재생을 하고 계시라. 쿠키 영상이 숨어 있다. ‘무빙’에는 앞서서 강풀 작가의 다른 웹툰 ‘타이밍’의 주인공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등장했던 바. 과연 ‘무빙’과 ‘타이밍’의 세계관 결합이 이뤄질 수 있을지, ‘무빙’이 시즌2로 시청자들 곁에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를 점치는 것도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