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드리운 먹구름이 걷힐 기미가 보이지 않자 삼성전자가 특단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보급형 A 시리즈의 부진과 경쟁사 애플의 추격에 맞서 매스 프리미엄(보급형·고사양) 모델 팬 에디션(FE)을 2년여 만에 다시 등판시켰다. 삼성 갤럭시의 모바일 왕좌를 지키기 위한 방패 역할을 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5일부터 주요 국가에 '갤럭시S23 FE'(이하 갤S23 FE)를 순차적으로 선보인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며, 미국 가격은 599달러(약 82만원)다.
노태문 삼성전자 MX(모바일 경험)사업부장은 "다양한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향상된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갤럭시 FE 시리즈는 지난 2020년 '갤럭시S20 FE'로 소비자와 처음 만났다. 후속작인 '갤럭시S21 FE'는 전 세계적인 반도체 수급난으로 출시가 지연되면서 신제품 공개 시기와 겹쳐 시장의 외면을 받았다.
이후 자취를 감추는 듯했지만 갈수록 어려워지는 시장 환경 속에서 구원투수로 마운드에 올랐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10년 만에 가장 저조한 성적을 낼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출하량은 11억5000만대로 전년 대비 6% 쪼그라들 것으로 관측된다. 최대 시장인 중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더디고 북미도 연간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이는 등 암울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프리미엄 시장을 꽉 잡은 애플은 호시탐탐 삼성전자의 1위 자리를 노리고 있다.
제프 필드핵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디렉터는 "실제 개선되고 있는 경기 지표와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구매 사이에 디커플링(탈동조화)이 확인되고 있다"면서도 "애플이 작년과 같은 생산 차질 문제에 직면하지 않는다면 1위 달성에 있어 반반의 확률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플래그십 못지않은 판매 성과를 내며 '형만 한 아우'로 불렸던 갤럭시 보급형 라인업의 힘은 빠지고 있다. 올해 2분기 삼성전자의 국내 점유율 3%포인트가 애플로 넘어간 이유가 갤럭시 A 시리즈의 부진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삼성전자가 5일부터 글로벌 순차 출시하는 '갤럭시버즈 FE'(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와 '갤럭시S23 FE', '갤럭시탭S9 FE'. 삼성전자 제공
이에 삼성전자는 플래그십의 성능에 합리적인 가격을 보장하는 갤S23 FE를 앞세워 반등의 기회를 잡는다.
갤S23 FE는 올 초 베일을 벗은 '갤럭시S23' 일반 모델과 성능 차이가 거의 없다. 오히려 배터리는 3900mAh에서 4500mAh로 확 키웠다. 25W 충전 어댑터를 쓰면 30분 만에 최대 50%까지 충전할 수 있다.
후면 메인 카메라는 5000만 화소의 동일한 센서를 장착했다. 광학식 손 떨림 보정(OIS)과 어두운 배경에서도 선명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나이토그래피 기능을 지원한다.
두뇌 역할을 하는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공정이 4나노로 같지만 갤S23 FE의 경우 이전 버전을 택해 비용을 절감했다. 출시하는 나라에 따라 삼성 '엑시노스 2200' 또는 미국 퀄컴의 '스냅드래곤 8 1세대'가 들어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젊은 고객을 겨냥해 민트·그라파이트·퍼플·크림·인디고·탠저린 등 과감한 색상을 입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 출시 일정을 아직 확정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각 나라의 시장 수요나 재고 상황을 보고 도입을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