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가 올 시즌 높은 관심 속에 총관중 216만 명(216만3907명·26일 기준)을 돌파한 가운데, 새로운 과제를 받아들였다. 바로 ‘원정팬 차별 금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축구계에서 지적돼 온 원정팬 차별과 관련, 새 규정을 만들어 건전한 축구 문화 정착을 바라본다. 하지만 구단 관계자들은 “사정이 다 다르다”라며 가벼이 다룰 문제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연맹은 지난 25일 제7차 이사회 결과를 발표, 6개의 새로운 안건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원정 응원석 관람 편의 차별 금지 규정’이 신설됐다. 이전부터 지적돼 온 편향적인 원정팀 좌석 배치·가격 책정 등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하나원큐 K리그1 2023 대회요강 제9조에는 원정석과 관련된 조항이 있다. 바로 「홈 클럽은 상대 클럽(이하 원정 클럽)을 응원하는 관중을 위해 경기장 전체 좌석 수의 5% 이상의 좌석을 배분해야 하며, 원정 클럽이 경기 개최 일주일 전까지 추가 좌석 분배를 요청할 경우 홈 클럽과 협의하여 추가 좌석 분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정 클럽 관중을 위한 전용출입문, 화장실, 매점 시설 등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야 한다」라는 부분이다.
다만 해당 조항과 관련해 여러 차례 논란이 일었다. 연맹에 따르면 경기장 사정을 이유로 원정석 5%를 채우지 않은 일이 대표적이다. 이외 빈 좌석이 있음에도 시야가 제한된 좌석을 주는 등의 사례가 발생했다. 또 홈 관중석과 같은 조건임에도, 원정석이라는 이유로 더 높은 가격이 책정된 사례도 있었다.
이 부분에 대해 연맹 관계자는 “올 시즌만의 문제가 아닌, 전부터 지적돼 온 문제다”라면서 “팬들의 불만이 있었으며, 연맹에서도 ‘원정석이라는 이유로 제한을 받는 건 옳지 않다’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라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공통으로 나온 얘기는 ‘골대 뒤편을 원정석으로 고정하자’이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일부 구단은 상황에 따라 원정석 구역을 임의로 조정하는데, 이에 대해 공통된 지침을 가져가자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운영을 할지 구단과 논의 단계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설 규정에 대해 구단 관계자들은 각기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다만 공통으로 “가벼이 다룰 사안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먼저 A구단 관계자는 “일부 구단은 홈이라는 이유로, 원정팬들에게 사례와 같은 제한을 두기 시작했다. 팬들의 피해사례가 쌓이니 몇 년간 구단들끼리 분위기가 삭막해졌다”라고 상황을 꼬집었다. 이어 “다른 것보다 우리 팬들이 피해를 겪지 않았으면 좋겠다. 일부 구단의 원정석 동선은 편의성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 축구팬이고, 돈도 지불했는데 동일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건 차별이 맞지 않나. 이런 차별에 대해선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속된 표현으로 일부 구단은 원정팬 입장을 제한하면, 홈 팬들의 지지를 얻는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우리 팬들도 ‘똑같이 갚아줘라’ 이런 주장도 한다”라며 감정의 골이 깊어진 상태를 전했다.
B구단 관계자 역시 팬들이 누려야 할 편의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우리 원정팬도, 상대 원정팬도 같은 대우를 받고 혜택을 누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일부 구단에서 원정팬들의 편의시설(매점 등) 이용을 제한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A구단 관계자의 말대로 ‘차별’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부분이다.
이어 B구단 관계자는 “원정석과 관련해 구단 담당자끼리 의견이 갈린다”면서 “현행 ‘원정석 5% 이상’이라는 규정은 결국 경기장 규모에 따라 원정팬 수가 달라진다. 어떤 구단은 많이 허용하고, 또 다른 구단은 적게 허용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즉, 단순히 비율 조정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고 짚은 것이다. 현실적인 고민도 있었다. 이 관계자는 “해당 규정을 적용하려면, 빨리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면서 “경기장 광고, 티켓 정책 등 다뤄야 할 시기다. 원정석 배치나 규모가 바뀌게 된다면, 거쳐야 할 단계가 많이 있다”라고 짚었다.
C구단 관계자는 연맹의 결정을 지지했다. 이 관계자는 “당연히 우리 팬들로 경기장을 가득 채우는 것이 좋지만, 원정팬도 같은 고객”이라며 “연맹의 결정이 나쁘지 않다고 본다. K리그 25개 구단이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K리그 저변 확대에 신경 써야 할 시점이다. 연맹에서 올바른 타이밍에 결정을 내린 것 같다”라고 전했다. 이어 “원정석을 크게 푸는 구단도 있고, 그렇지 않은 구단도 있다. 빈자리가 없다고들 하지만 중계 화면을 보면 알 수 있듯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한편 D구단 관계자는 “우리팀은 (원정석을) 크게 열어두고 있는 상황이라 당장 와닿는 문제는 아니”라면서도 “어디까지나 구단의 재량에 맡겨야 할 부분도 존재한다. 연맹의 의도는 모두 이해하고 있으나, 오히려 이런 규정으로 인해 역차별을 느끼는 구단이 생길 수도 있다.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짚었다.
해당 규정에 대해 연맹과 구단이 어떤 해답을 내놓을지가 관전 요소다. 구단 관계자들의 발언을 종합해 보면 결국 경기장마다 환경이 다르다 보니, 일정 규정을 일괄 적용하는 건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경기장의 구조적 한계 탓에 모든 구장이 같은 규정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토로한 관계자도 있었다.
원정석 배치를 ‘차별’로 보는 것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한 관계자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를 비롯해 다른 리그를 살펴보면 원정팬들이 사각지대에 놓여 있거나, 시야가 한정된 자리에 배치된 경우도 있다”라고 말했다. 가격 정책 역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조정될 일인데, 해당 규정이 모든 구단을 설득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결국 권고 수준에 그치지 않을까”라는 전망을 내비치기도 했다.
어느 때보다 축구 열기가 뜨거운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뜨거운 열풍에 힘입어 풀어야 할 숙제도 확인했다. 연맹도, 구단도 ‘축구 저변 확대’라는 공통된 목표를 바라보고 있는 만큼 향후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지가 관전 요소다.